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 생각하는 어린이 사회편 13
강미숙 지음, 김석 그림 / 리틀씨앤톡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다문화 역사를 알아보고,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생각을 가져요!



지난 생각하는 어린이 과학편

우리집에서 찾은 생태계 이야기에 이어서

이번엔 리틀씨앤톡의 생각하는 어린이 사회편 13권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를 읽어보았답니다.




다문화 사회란 한 나라에 다른 인종과 다양한 문화가

함께 어우러져 있는 사회를 말하는데요


요즘 한국도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하고 있지요.

다문화가정이랑 외국인가족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요

선아네 학교에도 외국인이 많이 있어요.

학교 근처 놀이터에 가면 여러나라의 어린이들을 만나볼수 있는데요..

미국이나 캐나다, 유럽 나라 아이들은

한국아이들 보다 더 좋은 대우를 받는 경우가 많지만..

아시아 아이들은 보통 동등한 대우를 받지 못하지요.

다문화 가족을 안 좋게 보는 시선도 종종 사회 이슈가 되기도 하지요.






점점 글로벌화 되는 요즘,

다른 문화를 서로 받아들이면서 평화 공존하는 요즘이만,

그래도 외국인이라면 많은 차별을 받고 있지요.

지금도 이러는데 예전에는 어땠을까요?



우리 나라 역사상 어떤 다문화 이야기가 있었을까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조선시대의 과학자 장영실,

다문화 가정에서 태여났다는 사실 알고 있는지요?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네요

다문화가정에서 태여난 우리 선아도

장영실처럼 멋진 사람이 되는걸 꿈꾸고 있다지요 ^^



다문화에 관한 이야기를 즐길수 있을뿐만아니라

그 역사배경, 현재의 다문화에 대한 한국사외의 포용성을

다양하게 읽어볼수도 있어요




지식플러스 코너를 통해서 배경지식을 더 배워볼수 있는데요

세종대왕시기때부터 귀화정책이 있다는것에 한번 더 놀랐답니다.





이주 여성, 다문화 가정 그리고 외국인 근로자들뿐만아니라

요즘은 유학생들도 많을뿐만아니라 여행하러 온 여객들도 엄청 많지요

이렇게 주위에서 흔히 볼수 있는 외국인,

그리고 귀화한 한국인들..

우리 주변에 있는 다양한 존재들을 어떻게 정확히 대해야 할지

알아볼수도 있어요 .




교과연계도서인것만큼 교과서속 생태계 키워드에 대해서도

설명을 통해서 익혀볼수 있어요



우리 나라 역사상, 또 어떤 다문화 가정이 있었으며

그들은 어떻게 우리와 함께 생활해 왔는지

<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를 통해 직접 알아봐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체험후 작성한 후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