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리얼리스트 사토리얼리스트
스콧 슈만 지음, 박상미 옮김 / 윌북 / 201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사람들이 소라게 같다고 생각한다.

일정한 사회적인 역할로 가장하기 위해 겉껍질을 갈아입는 것 말이다.

우리는 ‘역할’을 입는다.

이렇게 생각하면 사람들의 패션을 볼 때 좋다, 나쁘다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눈의 탐욕’을 챙기게 된다.

그 사람이 무엇을 입었느냐보다는 어떤 요소가 내 스타일에 맞는가를 찾는 것이다.

내가 사람들의 이름이나 입은 옷의 브랜드를 잘 밝히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내게 그런 사실들은 별로 의미가 없다.“ (p27)

 

“멋진 스타일을 결정하는 건 과연 무엇일까?

내가 가장 자주 받는 질문이다.

우리는 멋진 스타일이란 자신이 누구인지, 자신이 추구하는 게 무엇인지

완벽하게 아는 데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나는 조심스레 의견을 달리한다.

내 생각에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갈등이야말로 종종 더 흥미로운 자기표현을 하도록 만든다.

그래서 젊은 사람들이나 더러는 마음이 젊은 사람들의 패션이 흥미진진한 것이며,

바로 이런 사람들이 패션을 발전시킨다.

이들은 끊임없이 자신을 발견하려고 애쓴다.

‘나는 록 뮤지션인가?

아니면 축구선수? 혹은 둘 다?‘

이런 갈등이야말로 가장 흥미로운 모습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p7)

 

 

저자인 스콧 슈만은 패션계에서 15년간 종사하면서, 패션쇼나 잡지에 나오는 옷과

실제 사람들이 입는 옷 사이의 차이가 점점 커지고 있음을 느꼈다.

그의 블로그는 그 사이의 균형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한다.

 

독학으로 사진을 공부한 슈만은 <보그>, <GQ>, <판타스틱 맨>, <엘르> 등

세계적인 잡지에 사진을 싣고 있다.

 

 

패션계에서도 철학과 관념을 씨줄과 날줄로 직조한 패션의 미학을 탐구

하기 시작하고 있는 듯 하다.

 

무슨 말인고 하니 패션쇼에서 모델들에게 걸쳐진 옷들이 일반인들에게

입혀져서 곧바로 거리로 쏟아져 나오던 시대는 지나간 것 같다는 말이다.

 

모델들의 워킹을 보며 ‘나도 저 옷을 입고 싶다’라는 생각보다는

‘저건 무슨 의도로 디자인하거지?’라는 궁금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물론 패션이라고 해서 철학과 무관하게 무조건 실용적일 필요는 없겠지만

무엇이든지 적당한 균형이 좋은 것이 아니겠는가?

 

저자인 슈만도 같은 생각을 해서인지 전문 디자이너나 모델들이 아닌

일반인들의 패션을 찾아 거리로 나가게 되었고 그 결과물이 이 책과 그의 블로그에

담겨져 있다.

 

멋진 스타일이란 무엇일까?

저자는 자기의 정체성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건 아마도 자기와 가장 잘 어울리는 패션 혹은 차림새가

가장 스타일리쉬하다는 말일 것이다.

 

브랜드가 스타일을 결정짓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개성과 특성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 멋진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확률이 높은 것이다.

 

그런데 나와 잘 어울리는 스타일을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 것 같다.

가장 좋아하는 옷은 어제 입은 옷이라고 생각하는 나 같은 사람들에게 패셔니스타의 길은 정말

멀기만 하다.

 

언젠가부터 한국남자들은 패션 감각이 엉망이라는 말들을 듣고 있다.

옷을 입는것에도 특별한 방법이 있는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옷 입는법에 대해 한수 가르치시겠다는 지침서들과 방송들이 꽤 많이 생겨나고 있다.

 

그러한 매체들을 통해 훈계하는 전문가들의 조언들을 보게되면

 

“아무리 더워도 수트 밑에 긴 소매 드레스 셔츠를 입으라”,

“가슴에 주머니가 있는 드레스 셔츠는 드레스 셔츠가 아니다.”,

“넥타이 끝이 허리띠보다 길게 내려오면 안 된다.” 등등.

 

또한 패션전문가들은 수트에 운동화는 절대 안된다고 훈계한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는 오히려 정장에 운동화는 개성있고 스타일리쉬해 보이며

비관습적이고 도전적인 느낌을 받게 한다.(물론 누가 어떻게 입었느냐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무수한 패션잡지와 케이블 방송에서 패션과 유행이라는 이름으로 개성을 말살하는

역설적인 행태들을 경계하고 싶다.

 

 

* 저자에 의하면 sartorialist(사토리얼리스트)는 재단사의 뜻을 지닌 라틴어 sartor에서 유래했으며

‘자기만의 개성을, 자기만의 스타일로 표현하는 신사’를 의미한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