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 잘해주고 상처받지 마라 - 서운하고 속상한 마음을 들키지 않으려고 애쓰는 당신을 위한 감정의 심리학
유은정 지음 / 21세기북스 / 201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관계에서 가장 힘들고 상처받는 일이 아마 이 책의 제목이 아닐까~ 생각되었다
나도 싫어하고 그쪽도 나를 싫어한다면 조금 피곤하기는 해도 크게 상처받을 일은 없을 거 같다
어차피 싫은 사람에게는 기대하는 것이 없고 그 사람이 나한데 못한다고 해서 손해는 있을지 몰라도 상처가 되지는 않을 것이고 상처가 된다고 해서 나도 그에게 같이 대하면 되니~~ 뭐 피장파장인 셈이다
하지만 내가 좋아서 잘해준 사람이 나에게 상처를 준다면 그 상처는 나에게 데미지가 크다
대부분 첫마디가 "내가 저한데 어떻게 해줬는데~~"로 시작하니 처음에는 서운함과 당혹감이 그리고 나중에는 미움과 증오가 생겨난다
물른 상대방이 원해서 해준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이 상대방은 가만히 있는 본인이 다 해주고 그 대가가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
"기브 앤 테이크" 가 인간관계의 기본이라고 하면 나의 부모님 세대를 포함한 나이 드신 어른들은 "빡빡하게 왜 그러냐~", "사람 사는 게 그런 것이 아니다~ "라고 하지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야기하지 않고 상대방이 알아서 해주기를 바란다
가장 가까운 사이인 가족부터 친구, 동료 등 요즘은 인간관계가 다양하고 넓어진 만큼 그들로 인해 상처받을 일도 더 많아진 셈이다
그러니 더욱 자신의 마음을 잘 추스르는 것이 중요해지는 거 같다
이 책의 저자의 말처럼 나는 최선을 다했는데 돌아오는 것이 상처뿐이라면 그 인연은 끌고 갈 필요가 없다는 부분에서 적극 공감을 했다
조금만 기다리면 나아질거라 기대하면서 기다리라는 둥 참으라는 둥 천사 코스프레를 하지 않는 부분이 저자의 책을 읽게 된 가장 큰 계기가 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누구나 생각은 하지만 밖으로 꺼내지 않은 이야기들을 저자는 속 시원해하게 해주는 거 같다
책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사례와 인간형들을 읽으면서 스스로 나와 비슷한 상항을 찾게 되고 그 솔루션에 대해 생각해보면서 어느 정도 심적인 안정감을 느끼게 되는 거 같다
막연하게 기분 나쁘다는 감정으로 뭉퉁그려 생각했던 것들을 조금 더 자세하게 부분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며 스스로 느꼈었던 감정의 실체를 파악하니 한결 정리가 쉬워진 듯했다
아제 당신은, 당신에게 상처를 주는 관계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P.9
거절이 어렵다면 이것 하나만 기억하라. 당신이 지금 밀어내려고 하는 것은 상대방의 인격이나 그 사람이 아니라 '부당한 상황' 과 '어쩔 수 없는 현실'일 뿐이라는 사실을
-P.18
자기암시의 영향력은 엄청나다. 계속 자신을 비난하다 보면 부정적인 생각이 계속 반복 재생되고, 비난 메시지가 자동화 사고로 이어진다. 이 같은 자동화 사고는 우울증으로 이어진다.
당신은 충분히 매력적이다
삶은 생각하는 대로 굴러간다
스스로 자기 인생에 낙인을 찍을 필요는 없다. 인생은 '한 방'이 아니라, '단 한 번'이다
-P.44
그러니까 인생이 '아무거나', '대충'이 되는 것이다. 가족 내에서 제대로 대우를 받지 못한다면, 원망에 앞서 자신의 욕구를 전달하려는 노력부터 해보자.
-P.52
신체이형장애는 외모에 특별한 결점이 없음에도 심각한 결점이 있다고 여기는 망상성 정신질환이다
-P.55
왜 친구의 고민과 눈물에는 관대하면서, 본인의 상처에는 인색한가? 한 번쯤 생각해볼 문제다.
-P.61
선택이란 미래에 대한 현재의 결정이다. 다른 사람의 미래를 책임질 수 없다. 내 미래는 내가 선택하고 결정해야만 한다.
-P.89
단것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당분에 중독되고 심한 경우 정상적인 뇌 활동이 불가능해지며 오히려 저혈당으로 무기력해지는 결과를 일으킨다. '단 것을 먹으면 힘이 나고 기분이 좋아진다'라는 통념은 틀렸다
-P.119
나도 이 통념에 괘나 의지했던 사람인지라 "허걱~"했다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할 때 중요한 점은 꼭 거울 앞에서 하라는 것이다.
거울을 통해 몸을 보는 것만으로도 지금껏 경험하지 못한 '자기애'를 체험할 수 있다
-P.128
지금까지 스트레칭이나 운동을 할 때 거의 티브이를 보면서 했었는데 앞으로 이 사실을 기억해야 할 거 같다
완벽한 끝은 존재해도 완벽한 시작은 존재할 수 없다 '시작'은 원래 아무것도 없는 지점이다. 당연히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P.143-144
"어느 누구도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지 않았다"는 문장을 읽고, 정말 맞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P.145
심리 치료에서는 이것을 '브레이크 스루' 라고 한다. 꽉 막힌 생각을 뚫으면 길이 열린다는 뜻이다.
-P.156
상대방의 단점에만 너무 집착하지 말고 그 사람의 장점에 대해서도 생각한다면 어느 정도 균형 잡힌 시각을 갖게 되어 화내는 횟수를 줄일 수 있는 뜻이다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향수이기도 한 '샤넬 NO.5'' 샤넬이 자신을 도와주었던 미시아에게 헌정한 향수라고 한다
"기브 앤 테이크" 서로 도움을 주었던 두 사람의 관계가 이 유명한 향수로 남게 되었던 것이다
스치는 인연이 있어야 머무는 인연에게 더 잘할 수 있는 법이다
-P.172
사람과의 관계 또한 연습해야 한다는 말에 공감이 되었다
가족에 대한 판타지를 품지 말 것, 우리가 가족 때문에 힘들어하는 것은 진짜 불행해서가 아니라 화목한 가족에 대한 환상이 크기 때문이다. 우리는 상위 10퍼센트의 삶을 평균이라고 정해놓고 거기에 미달된 자신의 삶을 혐오한다
서로 적당한 거리를 두고 사는 집도 행복한 가정이다.
-P.176
어떤 경우에도 그녀가 '나의 엄마'기 되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은 잊지 말자. 그저 '지금' 나의 엄마로서 존재하는 것뿐이다.
-P.187
세상의 모든 딸들이, 아니 자식들이 꼭 유념해두어야 하는 말인 거 같다
누군가의 어떤 존재이기 이전에 그들은 그들 존재 자체로 존재하고 있었으며 지금도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모든 터널은 끝이 있기 마련이다. 아무리 길어도 끝이 없는 터널은 없다. 끝과 만나는 과정이 싶지는 않겠지만, 현재 자신이 터널 안에 있다면 어둠도 수용할 줄 알아야 한다. 이 세상에 한순간도 어둠이 드리우지 않는 집은 없다. 어둠은 어차피 찾아오는 불청객이다. 장담컨대 이때 이룬 성장이 평생 이룰 성장보다 클 것이다.
-P.193
일상을 견디는 삶도 에베레스트 산을 정복하는 것만큼 위대하다
꿈은 판타지가 아니라 밥그릇이어야 한다. 지금 하는 일이 원래 내 꿈이 아니었다고 해도 절대 무의미한 것이 아니다
-P.258
저자의 이야기들을 내 나름대로 정리하자면 내가 잘 해주는 건 내 아음이고 도움이 필요하면 정확하게 요구하고 그 사이에 문제가 있다면 정리를 하는 것이 낫다는 아무리 오래된 관계라고 해도 그 시간이 아까워 앞으로의 시간까지 고통스럽게 만들 필요는 없다
우리에게 상처를 주는 대부분은 우리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하지만 그들에게 꼭 우리가 소중한 사람일거라는 기대는 하지 않는 편이 현명하지 않을까?
그들이 배은망덕하고 나쁜 사람이라서인 경우도 없지 않아 있겠지만 대부분은 그들도 그들 나름의,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정과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들이 우리 뜻대로 해주리라 생각하고 기대하는 거 자체가 "판타지"에 나오는 아바타가 아닌 이상 불가능한 일이란 걸 항상 인식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포스트잇이나 제비뽑기를 사용해서 자신에 대한 판단을 확실하게 내는 것도 이 책에서 배운 좋은 방법이었다
그냥 이렇게 생각하자
그냥 상황이 그렇게 된 거라고~ 인연이 여기까지라고~
하지만 그 사람 자체에 대해서는 나쁜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이 그 사람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좋은 일인 거 같다
자신이 아닌 모든 이가 타인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우리"라는 말로 묶어두고 내 기대를 타인에게 바리지 않는 것이야말로 더 이상 상처받지 않은 관계를 위한 시작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 책에 잠깐 등장했던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이라는 책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면서 이 글을 마친다
[이 글은 21세기북스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