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장 속 인문학 - 키케로부터 코코 샤넬까지 세상에서 가장 스타일리시한 인문 강의
김홍기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학에 대한 책은 괘 많이 읽었지만 이 책은 저자의 말대로 인간의 삶에서 시작과 끝을 함께하는 유일한 의식주 중의 하나인 옷을 주재로 이야기한다

책의 첫 장에서 옷장을 열면 그 옷장의 주인의 모습인 보인다고 한다

책을 읽고 나서 외출할 일이 있어 연 내 옷장은 지금의 복잡하고 엉망진창인 내 마음속을 거울로 보는 듯한 착각마저 일으키는 거 같다


며칠 전 뭔가를 찾기 위해 다 뒤적거려 놓은 채 정리를 하루하루 미루고 있었다

처음엔 옷장이 무슨 그 사람을 표현해헸지만 지금의 내 경험적으로 이 말은 상당한 일리가 있는 말인 거 같다

옷에 큰 관심도 없을뿐더러 그저 편하고 상황에 맞고 남들의 눈에 띄지 않으며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 책의 어디선가 저자가 말한 거 같은 그런 사람들 중 나 역시 한 명이었다


옷 하면 패션이지 무슨 인문학과 관련이 있어 하는 사람들도 분명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했듯이 옷은 인간의 삶에서 죽음까지 함께하는 유일한 존재이며 인간의 역사를 그것이 개인의 역사이든 인류의 역사이든 구체적인 모습으로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이 책을 읽으면서 들었다

그저 아무 없이 편하게 사용하고 있는 자크나 단추의 역사적 유래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으며 그저 외국어라고 생각하며 뜻조차 알지 못 했던 패션 용어들에 대해서도 조금은 알 수 있어 재밌었다  


옷을 잘 입고 싶다면 비싸고 좋은 옷을 사는 것이 아니라 단골 수선 가게부터 만들라는 말에도 고개가 끄덕여진다

기존의 기성복을 구매해서 입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옷을 구매하고도 정학하게 자신의 몸에 맞지 않는 옷으로 인해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

제조사마다 왜 사이즈가 제각각일까 하며 짜증도 많이 냈었는데 그 이유도 알 수 있었다

단순하게 그저 몸을 보호하고 편하고 남의 시선에 피해만 주지 않으며 그만이라고 생각했던 옷에 대해 많은 것들을 생각할 수 있었다


모피에 대한 부분을 읽으면서 전보다 모피에 대한 거부감이 더 높아지는 거 같았다

흠집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 산 채로 행해진다는 그 행위는 정말이지 경악하지 않을 수 없을 거 같다

동물의 가죽이나 모피를 옷으로 만들어 입은 것은 선사시대에 그외엔 옷을 만들 재료가 없었기때문일텐데 지금은 굳이 그런 재료가 아니더라도 따뜻하고 편한 소재들이 많은데 왜 굳이 그렇게까지해서  그런 소재를 사용한 옷들을 입고 싶어하는 욕망을  잘 이해할 수 없었다

인문학하면 여전히 어려운 분야라며 거부감부터 보이는 사람들도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거 같다

  

[이 글은 해당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