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의 위대한 질문 - 신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ㅣ 위대한 질문
배철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221/pimg_7121441131328239.jpg)
금요일 밤 공부하는 학생들 틈에서 "인간의 위대한 질문"을 읽었었다
평소였다면 음악이나 들으면서 편안하게 방에서 읽었을 것이지만 이 책은 왠지 어수선한 기분으로 읽기에는 부족했다
토요일 오전 "인간의 위대한 질문"을 다 읽고 후기까지 쓰고 나니 저녁이 되었다
오랜만에 머리를 너무 굴렸더니 넉다운이 되어서 "신의 위대한 질문"은 얼마 읽지도 못한 채 덮어야 했다
일요일 오전 늦게서야 눈을 뜨고 멍한 상태에서 커피 한 잔만을 마시고 독서대까지 챙겨들고 책을 챙겨서 도서관으로 갔다
오후 1시가 조금 넘은 시간 도서관 열람실~
학생들도 그리 많지 않았지만 지난번에 비해 확실히 조금은 어수선하다
자리를 잡고 독서대와 수첩에 연필까지 꺼내들고 어제 읽다만 부분부터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기원후 4세기가 되자 인간은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원조를 가지고 태어나 스스로
구제받을 수 없는 '죄인'이 되었고, 이 개념은 그 후 그리스도교의 핵심교리로 자리 잡았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21 |
|
이런 ㅠ,ㅠ
몇 페이지를 읽지도 않았는데 예전에 가졌던 궁금증 중 하나의 답이 이렇게 나왔다
전도를 받을 때마다 늘 걸리는 부분이었고 언쟁의 대상이 되었던 '원죄'라는 것이 예수나 하느님과는 아무 상관도 없는 한 명의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개념이라니~~
이 부분만 제대로 알았더라도 그 많은 언쟁을 하지 않았어도 되었을텐데 말이다
결과적으로 나에게 전도를 했었던 그들도 이런 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말도 안 되는 원죄 어쩌고만 하지 않았어도 그 시절 기독교에 대한 반감이 조금은 줄었을텐데 ㅎㅎ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인생에 있어서 가장 큰 죄는 자신이 꼭 해야 할 일을 알지 못하고 그것을 찾으려고도
하지 않으며 그것을 위해 최선을 다하지 않는 것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40 |
|
조금은 기운이 빠진다
지금의 나는 죄인일까??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생명나무는 영생을 보장하는 열매가 맺으며, '선과 악의 지식의 나무' 는 우주의 신비와 비밀을 푸는 '지식'이 담긴
열매를 맺는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48 |
|
에덴 동산에 있었다던 선악과의 정체를 이제야 알게 되었다
선악과는 에덴동산의 단 한 그루의 나무가 아니었으며 처음부터 선악과도 아니었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이슬람에서는 알라신의 속성을 바로 '컴패션'이라 정의한다. 인간이 가진 컴패션이라는
속성은 아마도 인간의 이기적인 유전자를 억제하고 이타적 인간성인 모성애를 배양시켰을 것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67 |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에덴의 동쪽에 거주하기 시작한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것은 내 존재의 위상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 그것이 동생이든 친구든 이웃이든 그들이 어디 있는지가 중요하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79 |
|
인류 최초의 살인사건인 가인과 아벨의 이야기에서 신이 카인에게 아벨이 어디에 있는지 묻자 가인은 퉁명스럽게 모른다고 답한다
그저 사람의 이름이라고 생각했던 '아벨'이라는 이름이 지닌 의미도 알 수 있었다
어쩌면 그는 가인에 의해 살해될 헛되고 슬픈 운명을 지닌 존재로만 남을 수밖에 없었던 거 같다
성경에 필요한 장치 중 하나인지도 모르겠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동양에서는 개인이 한 가족의 구성원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이름 앞에 성을
붙이지만, 서양에서는 개인이 중요하기 때문에 자신만의 고유한 이름이 성 앞에 온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99 |
|
예전에도 어디선가 본 적이 있는 말이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선은 신이 인간에게 원하는 덕목인데 그 기준이 타인에게 있다는 것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107 |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나와 다르거나 익숙하지 않은 것을 배척하지 않고 그것을 성찰의 기회이자 성김의
대상으로 만들 때 그 다름이 바로 신이 된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111 |
|
서로가 틀렸다고 싸우고 있는 현대의 종교에서 이런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까??
단순하게 종교에서뿐만은 아닌 우리 사회 전반에 이런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아들을 죽이려는 아브라함의 행동은 앞서 설명한 '라이오스 콤플렉스'의 전형적인 예로 해석할 수 있다. 부정적인
아버지상의 원형인 라이오스 콤플렉스는 거의 모든 신화에 등장하는 주제이기도 하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127 |
|
이런 이야기들은 신화 관련 책을 보면 자주 나와 익숙했지만 "라이오스 콤플렉스'라는 이름은 처음 알게 되었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현현(顯顯) 이란 뜻의 에피파니는 평범하고 일상적인 대상 속에서 갑자기 경험하는 영원한 것에 대한 통찰의
의미한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148 |
|
앞서 읽었던 '인간에 대한 위대한 질문"에서도 느낀거지만 저자는 램브란트와 카라바조, 샤갈의 작품을 좋아하는 거 같다
주제와 맞는 그림이기도 하지만 그림에 대한 이야기도 다시 읽을 수 있어 재밌었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아브라함의 종교들, 즉 기원전 4세기경에 등장한 유대교, 기원후 1세기의 그리스도교, 그리고 기원후 7세기의
이슬람교는 모두 셈족인들이 만든 종교이다. 이들은 자신을, 셈 즉'이름'의 후예라고 믿었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190 |
|
비슷할 거라고는 생각했지만 결과적으로 뿌리가 같은 종교들끼리 몇천 년에 걸쳐서 싸우고 있는 셈이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우리가 신을 만나지 못하는 이유는 바로 인간이 정해놓은 시간과 장소에 신을 묶어놓았기
때문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191 |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메시아는 히브리어로 '기름 부음을 받은 자'라는 의미이다. 다윗은 메시아라는 칭호로
불린 최초의 인물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231 |
|
사무엘이 다윗의 머리에 기름을 부어 지도자로 추대한 것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한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자신을 높은 경지에서 바라볼 수 있는 '응시'야말로 우리가 지녀야 할 덕목이다.
인간은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항상 자신을 성찰하고, 과거의 잘못했던 자신을 인정하고 변화시키려는
마음가짐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258 |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길은 목적지가 아니다. 길이 있다고 믿고 일어서는 순간 그 길이 목적지가 되기
때문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269 |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한자로 '섭리(攝理)' 는 '아프거나 병에 걸린 몸을 잘 조리하다'라는 뜻 뿐만 아니라 '자연계를 지배하고 있는
원리와 원칙' 혹은 '우주만상에 숨어 있는 신의 뜻'이라는 의미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272 |
|
뒤의 뜻은 알아도 앞의 뜻의 전혀 의외였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인생의 고통이란 참을 수도 있지만, 도저히 이해할 수 없고 참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그때 살아야만 하는 이유가 있는 사람은 그것을 극복할 수 있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274 |
|
살아야만 하는 이유가 분명한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선뜻 이 안에 스스로를 포함시키지 못하는 자신이 서글퍼지는 것은 ㅠ.ㅠ
빨리 넘어가야겠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성대한 의례도 신이 원하는 것이 아니라 신이 자신 편이라고 믿는 인간의 정신적인
쾌감을 위한 장치나 다름없었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289 |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법은 인간이 행복에 도달하기 위한 징검다리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295 |
|
현대 우리 사회에서 이 징검다리는 부자와 힘 있는 사람들만이 건널 수 있는 그런 다리가 되어버린 것은 아닐까??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정의는 나의 입장에서 옳은 것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구성원의 입장, 더 나아가 상대방의
입장에서 세상을 보는 것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295 |
|
몇달전에 다시 읽었던 "앵무새 죽이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어 더욱 공감이 되었던 거 같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한 종교만 옳다고 주장하는 처사는 지난 2000년 이상 면면히 흘려와 인류 역사를
바꾼 종교에 대한 모독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300 |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종교와 이데올로기가 우리 삶을 오히려 더 점점 피폐하게 만드는 이유는 저마다 편리한
신을 자신이 정한 규칙대로 신봉하려 하기 때문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311 |
|
종교를 좋지 않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오해가 아닐까 생각된다
생각해보면 종교를 종교 자체나 신이 아닌 그 종교를 자신들이 편리한 대로 믿는 신도들을 보고 싫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 아닐까
생각된다
나 역시도 그랬으니까~~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었던 것을 종교 자체에 대해 하나둘씩 공부하면서 알 수 있었던 거 같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신이 원하는 이상적인 삶은 바로 '선함'이다 그 선함은 우리 사회의 약자들에 대한
관심과 역지사지하려는 마음가짐, 그리고 그것을 실천하는 것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312 |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철학은 내가 아는 것이 하나도 없다는 논리적 난점인 '아포리아(aporia)'를
경험하는 순간 시작된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321 |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우리 스스로 최선이 무엇인지 찾기를 두려워하고 적극적으로 탐색하지 않기
때문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345 |
|
하느님에게 화를 내는 요나를 보면서 낯설지 않았다
요나나 모세가 가졌던 의문들은 누구나 한 번은 생각하는 것들이 아닐까 생각된다
특히 모세의 모습은 지금까지 알고 있던 위대하기만 한 선지자의 모습이 아닌 자신에 대해 그리고 자신 앞에 나타난 신에 대해 끝없이 의심하는
인간의 모습이라 친근하게 느껴진다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여기에서 '생기'라는 단어는 히브리어로 '루아흐(ruah)'다. 루아흐는 모든
동식물에 깃든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어떤 것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362 |
|
책의 마지막 희망에 대한 부분의 앞서 읽은 책처럼 조금 김이 빠지게 한다
"희망이 고통과 절망의 또 다른 이름이 아닐까"
과연 고통과 절망을 겪어본 이들 중 몇이나 이 말에 동의할까??
니체의 말대로 희망이 없으니 고통과 절망을 느끼는 것이 아니겠는가
끝까지 희망을 주려는 저자의 의도는 백분 이해가 되지만 주말 오후를 도서관에서 이 책만 읽고 있는 나에게는 조금은 허탈해지는
마무리였다
그대로 뒷부분의 에필로그와 부록 부분에서 재밌는 것들을 알 수 있어 조금은 만회되었다
신이 자신이 하기 싫은 일을 할 존재를 찾다가 인간을 만들었다는 여러 나라의 신화를 보다 보니 웃음이 나왔다
솔직도 하셔라~~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이슬람의 '알라' 명칭은 '바로 그 신' 이라는 의미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427 |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1.gif) |
인간의 의무는 자신이 생각하는 정직하고 완벽한 인간, 즉 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그 모습과 일치하기 위해 연습하는
일이다 |
![](http://bimage.interpark.com/bookpinion/images/tag_quote02.gif) |
|
페이지 : 462 |
|
에머슨이라는 사람이 쓴 글이라고 한다
그는 인간이 누군가를 가장 간결하게 표현한 사상가라고 한다
그저 오래전부터 공부하고 싶었던 기독교에 대한 공부만을 위한 책이 될 줄 알았는데 성경 속에서 이해가 가지 않던 부분에 대해서도 많이 알
수 있었지만 그 외의 다른 부분들도 많이 알 수 있어 흥미로운 책이었다
기독교에 큰 관심이 없더라도 많은 부분에서 다양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책이었던 거 같다
도서관에서 장장 8시간을 꼼짝 않고 앉아서 읽어낸 책이라 더욱 뿌듯한지도 ㅎㅎ
여러 가지 부분에서 새로운 것들을 많이 알 수 있었다
[이 글은 21세기북스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