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토리 자매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돈코"와 '쿠리코" 합해서 "돈쿠리"
아주 예전에 고교시절에 일본어 수업 시간에 봤던 애니메이션이 있다
"이웃집 토토로"
올해 12살이 된 조카가 아기일 때 이 애니메이션을 보여주었다
신기하게도 이것만 보여주면 울지도 않고 늘 집에 올 때면 보여달라고 했었다
말을 하기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아기가 이상한 노래를 한다는 언니의 말에 나중에 집에 와서 들어보니 이 애니메이션의 주제가를 부르고
있었다
한국말도 제대로 못하는 꼬마가 "토나리노 토토로"를 따라 불렀고 극 중에 메이가 도토리를 보고 "돈쿠리"하고 고함치면 녀석도 같이
"돈쿠리"를 외쳤었다
요시모토 바나나라는 작가의 작품은 괘 읽었다
에쿠니 가오리와 비슷한 듯하지만 조금은 비현실적인 이상주의자 같다는 느낌과 조금은 더 따뜻하다는 느낌이 그녀의 작품에서 드는 것은 그런
작품만 읽어서인지도 모른다
책 속에 도토리 자매는 서르를 의지하며 살아가는 사이좋은 자매이다
어려서 회집 트럭에 치이는 사고 부모님을 한꺼번에 잃었고 그 후에 함께 살던 삼촌도 심근 경색으로 갑자기 숨을 거둔다 숙모의 재혼으로 오갈
데 없어진 자매를 거둔 것은 어머니와 사이가 좋지 않은 부자 이모였다
딱히 나쁜 것은 아니지만 자매는 이모가 좋아지지 않는다
이모부가 의사였던 이모 부부는 자녀가 없어 자매를 의사에게 시집보내 데릴사위를 맞이할 계획을 세우지만 언니인 돈코의 가출로 계획은 좌절된다
언니와 한순간도 떨어진 적이 없는 쿠리코는 언니가 떠나자 점점 몸이 안 좋아진다
그러던 중에 언니가 쿠리코를 데리러 온다
할아버지의 집에 들어가 함께 살기로 한 것이다
자매는 몸이 불편하고 성격도 괴팍하다는 할아버지와 함께 살기 시작한다
하지만 함께 살기 시작하면서 할아버지와 손녀들은 서로가 필요하기도 했지만 서로에게 좋은 관계가 된다
자매는 진심으로 자신들의 할아버지를 좋아하게 된다
하지만 이미 병중이었던 할아버지는 자매에게 집과 돈을 유산으로 남기고 돌아가신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공허함과 허탈함에 빠진 쿠리코~
자매는 이메일로 사람들의 고민들 들어주는 일을 시작하게 된다
 |
늘 똑같은 지나가는 그런 시간이 마치 소리가 없는 것처럼 살금살금 지나가 어둡고
추워지면.... |
 |
|
페이지 : 71 |
|
자매가 어릴 적 부모님과 공원으로 갔던 피크닉을 생각하던 장면에서 "시간이 살금살금 지나간다."라는 표현이 눈에 들어왔다
그때는 행복한지 몰랐지만 나중에 생각해보면 그 행복했던 시간을 느끼기도 전에 살금살금 지나가 버리는 것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일을 하던 중에 한 미망인으로부터 메일을 받게 되고
쿠리코는 어린 시절 좋아했던 남학생 "무기"가 나오는 꿈을 꾼다
꿈에서 무기의 장례식을 찾아간 쿠리코는 친구에게 무기의 소식을 알아보게 되고 그가 죽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언니가 한국인 연인과 한국으로 여행을 간 사이 쿠리코는 무기를 찾아간다
무기가 사고 났던 곳에 꽃이라도 두려고 했지만 찾지 못하고 돌아가던 길에 꿈에서 봤던 무기의 어머니와 같은 모습의 여인을 만난다
쿠리코 답지 않게 말을 걸었고 그녀는 정말로 무기의 어미니였다
그녀에게 꽃을 전해주고 바다도 보고 쇼핑도 하고 돌아온다
돈코가 한국에서 올아 오자 함께 오키나와로 여행을 떠나 행복한 시간을 보낸다
겉으로 보기엔 괘나 안정적이고 사이좋은 두 자매는 괴이해 보이기도 하고 뭔가가 어긋나 보이기도 하지만 괜찮은 인생을 살고 있는 것
같았다
사랑에 대한 전혀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어린 시절부터 겪어왔던 많은 죽음들이 자매에게 삶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는 다른 방식과 생각을
주어지게 한 것 같다
갑작스러운 부모님의 죽음. 따뜻했던 삼촌의 죽음, 자신들이 선택한 울타리가 되어줬던 할아버지의 죽음과 이메일과 꿈으로 알게 된 어린 시절
친구의 죽음~
예전에 ""절규"의 화가 뭉크에 대한 글을 읽었는데 그는 어린 시절 어머니와 형제들 중 다수를 잃으면서 극도의 불안정을 겪었으며 그 결과가
"절규"라는 작품이라고 한다
도토리 자애와 뭉크는 묘하게 비슷한 느낌이 나는 것 같았다
[이 글은 민음사서평단으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