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계, 남자를 말하다 - 손목 위에서 만나는 특별한 가치
이은경 지음 / 책이있는풍경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있다.
너무나 당연한 말인 것 같지만 실생활에서 이 말을 실감하는 일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을 다 읽고 난 뒤에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이었다
작년 여름 드라마 "주군의 태양"에서 재벌의 아들이던 주군이 시계가 가득한 진열장에서
그날의 시계를 고르던 장면이 떠올랐다
보통 사람들에게 시계는 하나만 있으면 그만인데 역시 재벌이라 다른가
했었다
한편으로 시계가 그렇게 많을 이유를 이해하지 못했었다
하지만 이 책을 보면서
그 장면이 조금은 이해가 되는 것 같았다
요즘은 누구나 휴대폰을 가지고
다니니 굳이 시계를 따로 가지고 다니지 않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더 이상 시계는 시간을 알아보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기능을 상실한 듯 보였다
그러나 시간을 알아보기 위한
시계가 아닌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액세서리의 일종으로 자리 잡은 듯하다
그것도 상당히 고가로
말이다
거추장 거리는 액세서리를 좋아하는
편이 아니라서 아무것도 하지 않지만 가끔 시계를 차고 외출한다
물른 이 책에 등장하는 명품에
고가의 시계는 아니다
시계라는 것이 대부분 그렇지만 나
역시도 대학 입학 선물로 받은 은색 손목시계를 아직도 가지고 있다
유행을 타지 않는 클래식한
스타일이라 지금도 가끔씩 사용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도 말한다
시계는 클래식한 스타일이
좋다고~
이 책을 보기 전에 내가 아는
시계 브랜드라고는 오메가와 롤렉스가 전부였다
피아제나 다른 브랜드들은 브랜드의
이름은 알고 있었지만 그것이 명품시계 브랜드의 이름이라고는 알지 못했다
같은 브랜드에서 나오는 시계라고
해도 가격대가 몇 십만 원에서 몇 억 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는 것도 신기했다
물른 저자의 설명을 읽다 보면 왜
그런건지 이해가 된다
나 역시도 휴대전화가 보급되면서
이제 손목시계는 자취를 감출 출 알았다
하지만 시계는 지금도 굳건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어쩌면 예전보다 더 강건하게
그리고 고급스럽게 말이다
이 책은 다양한 시계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흔히 명품이라 블리는 시계 브랜드들과 그 브랜드에서 나오는 멋진 시계들의 이야기를 보다 보면 다른 나라 이야기 같아 조금은 허탈해짐도
느껴진다
최고가의 시계들은 최소 몇천만 원은 기본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차 한대를 손목에 차고 다니는 셈이다
여성들이 액세서리나 백으로 자신을 과시할 때 남성들이 자동차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액세서리가 시계라고 한다
이 책에 실린 시계들의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도 멋있었다
시계 자체에 대한 이야기도 재밌었지만 시계와 관련된 유명인의 이야기는 더욱 신기하고 재밌었다
특히 프랑스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의 시계에 대한 이야기는 참으로 서글펐다
그녀를 위해 특별한 시계를 주문한 이도, 시계를 만들기 시작한 장인도 그리고 무엇보다 시계의 주인이 되었을 왕비도 완성된 시계를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한 김재규가 박정희 대통령을 위해 특별히 주문 제작했다는 시계 이야기가 참으로 의외였다
순종황제의 시계 이야기는 안타까웠고 김구 선생과 윤봉길 의사의 시계 이야기는 읽고 나서 조금은 먹먹한 심정이 되었다
시계 부품에 관한 부분에서는 어려운 내용에 답답했지만 볼거리도 읽을 거리도 풍부한 재밌는 책이었다
오타 p171 큰31일과
작은달30일 ->큰달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