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과학실록
이성규 지음 / 여운(주)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괘 오래전에 "조선왕조실록"을 읽은 적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괘 재밌는 책이었다

어차피 그저 교양서적 정도로만 읽은 책이었디만 그래도 역사적 지식이나 방대한 양은 읽는 동안에도 읽고 나서도 괘 기억에 오래 남아있었다

 

그래서일까 이 책을 보니 또 솔깃해진다

지금까지 내가 아는 실록이라는 책은 주로 정치와 사회문제에 관한 부분이 전부였다

물른 실록이라는 책이 한 왕의 치세 기간 동안에 있었던 일들을 기록한 책이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관심부분이 역사적인 사실에 편중되어있었다

유학이 기본 통치 개념이었던 조선에서 과학은 천대받았다고 했었기에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실록에서 고학에 관련된 부분만을 편집했다는 이 책이, 이 책의 내용이 더욱 궁금했다

 

책은 일단 표지부터가 맘에 쏙 든다

실록이라는 자체가 그다지 쉽지 않은 느낌이 드는데 비해 책의 표지는 조금은 편한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총 22개의 이야기가 들어있으며 내용을 읽다 보면 이미 아는 이야기도 있지만 새로운 이야기도 많아서 읽는 내내 지루하지 않았다

책을 읽다 보면 책의 주제와는 상관이 없을지도 모르지만 다양한 새로운 정보도 알게 되어 더욱 재밌었다

 

사자가 새끼를 절벽에서 던지는 이유가 스파르타식 교육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는 점도, 성경의 구약성의 "출애굽기"에서 "애굽" 이 이집트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것도 이 책에서 알았다

임금의 이름이 모두 한 글자인 이유는 알았지만 비운의 왕 단종의 이름이 두 글자였다는 것도 연산군의 갑자사화가 그저 어머니 윤 씨의 죽음에 대한 복수가 아닌 나름 정치적인 이유가 있었다는 것도 생각해보면 당연한 일인데도 생각지 못 했던 것 같다

임사흥이라는 인물에 대해서도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몇 년 전에 일본의 애니메이션 중에 "강철의 연금술사"라는 애니메이션을 괘 재밌게 봤었다

그 애니메이션에서도 나오는 주인공이 그토록 찾아 헤매던 "현자의 돌"이 여기서도 등장한다 

조선 시대에 현자의 돌을 찾던 사기꾼 이야기도 재밌게 읽었다

결과적으로 양쪽 다 현자의 돌은 찾지 못했지만 말이다

거북선을 둘러싼 이야기들도 재밌었다

철갑선이 아닌 목조선에 부분적으로 철못을 박았을 거라는 그리고 거북선이 발굴되지 않아 그 자세한 모습을 알 수 없다는 것도 알고 있었지만 그 이유는 바다에 침몰된 것이 아니라 군인들을 죽이고 배를 납포하는 왜인들의 전투 방법이라는 것도 납득이 되었다

 

거북선에 대한 수수께끼가 풀리지 않더라도, 여기저기 부서진 채 뻘 속에 묻혀 있는 거북선의 모습은 결코 보고 싶지 않다. 왜냐하면, 거북선은 우리의 기억 속에서 영원히 무적 함선으로 남아 있어야 하니까..... 
페이지 : 240 

 

이 글을 읽으면서 차라리 하는 생각도 들었다

나 역시도 저자의 생각에 동의한다

거북선의 실제 모습이 궁금하기도 하지만 말이다

 

일상생활에서 별생각 없이 사용하고 있는 "한참"이라는 말의 유래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처음에는 그저 조선 시대에 있었던 과학적 사건이나 사고 정도를 알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하고 읽기 시작했는데 조선사에 있었던 다양한 사건들도 알 수 있었고 지금까지 알고 있던 역사적 사실들의 이면도 알 수 있어 더욱 재밌게 읽었다

 

[ 이 글은 책좋사 서평단으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