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에 쓰는 논어 - 마음으로 읽고 손으로 되새기는 공자의 말 100
최종엽 지음 / 유노라이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 시절부터 한자 쓰기를 취미로 쓰기 시작했던 거 같다.

생전 처음 기숙사 생활을 했기에 사람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풀 수가 없어 찾은 방법이 바로 한자 펜 글씨 쓰기였다.

한 획, 한 획 한자를 쓰다 보면 화가 났던 마음이 가라앉았고, 덤으로 한자 실력까지 느니 일석이조였다.

그 후로도 지금까지 한자를 쓰는 것은 화가 났을 때 자주 쓰는 방법이 되었다.

서점에 들를 때면 한자 교본을 한두 권은 사서 구비해두고 심란하거나 안 좋은 기분이 들면 한자 한자 써나가곤 한다.

논어는 예전에 몇 번인가 읽은 적이 있다.

읽은 적은 있지만 논어의 구절을 연습장이나 노트에 마음에 드는 몇 문장을 써 본 것이 전부여서 이렇게 논어를 제대로 쓰기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기대가 되었다.

저자의 '논어는 읽는 것도 좋지만 쓰는 것도 좋았다'라는 감상을 이 책을 채우고 나면 나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인생은 습'習'의 결과는 말에 다시 한번 삶의 진짜 의미가 무언인지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한자 공부를 겸해서 쓸 예정이었기에 첫 장에 바로 음이 달려있는 부분은 조금 아쉬웠다.

한자만 있었다면 읽으면서 모르는 한자를 파악하고 다음 페이지에 쓸 때 몰랐던 한자는 더욱 집중적으로 익힐 수 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잠시 들었다.

처음 1강은 차례대로 채워나가다가 앞의 목차에서 지금 알고 싶은 대답을 먼저 찾아서 쓰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끌리는 부분을 찾아서 쓰고 있다.

내 경우는 처음에는 1강을 쓰고 5강의 용기를 써나고 있다.

2500년 전 공자가 제자들의 질문에 답을 해준 것을 제자들이 나중에 엮은 것이 논어인데 지금 읽어도 이렇게 와닿는 것을 보면 그 긴 시간 동안 인간은 딱히 나아진 것이 없나~ 하는 생각에 씁쓸한 웃음이 나왔다.

인생에 있어 배움을 강조했던 공자가 지금 이 시대에 태어났다면 과연 어떤 사람이 되었을지 궁금해지기도 한다.

어린 시절에는 학교만 졸업하면 배운다거나 공부하는 일은 더 이상 없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그 시절 스스로 찾아서 공부하는 습관만이라도 제대로 몸에 익혔다면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시간이 된다면 논어뿐만 아니라 도덕경이나 장자, 노자 같은 그동안 읽기만 했던 책들도 쓰기 교본이 있는지 찾아보고 쓰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