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십에 쓰는 논어 - 마음으로 읽고 손으로 되새기는 공자의 말 100
최종엽 지음 / 유노라이프 / 2022년 9월
평점 :
대학 시절부터 한자 쓰기를 취미로 쓰기 시작했던 거 같다.
생전 처음 기숙사 생활을 했기에 사람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풀 수가 없어 찾은 방법이 바로 한자 펜 글씨 쓰기였다.
한 획, 한 획 한자를 쓰다 보면 화가 났던 마음이 가라앉았고, 덤으로 한자 실력까지 느니 일석이조였다.
그 후로도 지금까지 한자를 쓰는 것은 화가 났을 때 자주 쓰는 방법이 되었다.
서점에 들를 때면 한자 교본을 한두 권은 사서 구비해두고 심란하거나 안 좋은 기분이 들면 한자 한자 써나가곤 한다.
논어는 예전에 몇 번인가 읽은 적이 있다.
읽은 적은 있지만 논어의 구절을 연습장이나 노트에 마음에 드는 몇 문장을 써 본 것이 전부여서 이렇게 논어를 제대로 쓰기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기대가 되었다.
저자의 '논어는 읽는 것도 좋지만 쓰는 것도 좋았다'라는 감상을 이 책을 채우고 나면 나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인생은 습'習'의 결과는 말에 다시 한번 삶의 진짜 의미가 무언인지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한자 공부를 겸해서 쓸 예정이었기에 첫 장에 바로 음이 달려있는 부분은 조금 아쉬웠다.
한자만 있었다면 읽으면서 모르는 한자를 파악하고 다음 페이지에 쓸 때 몰랐던 한자는 더욱 집중적으로 익힐 수 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잠시 들었다.
처음 1강은 차례대로 채워나가다가 앞의 목차에서 지금 알고 싶은 대답을 먼저 찾아서 쓰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끌리는 부분을 찾아서 쓰고 있다.
내 경우는 처음에는 1강을 쓰고 5강의 용기를 써나고 있다.
2500년 전 공자가 제자들의 질문에 답을 해준 것을 제자들이 나중에 엮은 것이 논어인데 지금 읽어도 이렇게 와닿는 것을 보면 그 긴 시간 동안 인간은 딱히 나아진 것이 없나~ 하는 생각에 씁쓸한 웃음이 나왔다.
인생에 있어 배움을 강조했던 공자가 지금 이 시대에 태어났다면 과연 어떤 사람이 되었을지 궁금해지기도 한다.
어린 시절에는 학교만 졸업하면 배운다거나 공부하는 일은 더 이상 없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그 시절 스스로 찾아서 공부하는 습관만이라도 제대로 몸에 익혔다면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시간이 된다면 논어뿐만 아니라 도덕경이나 장자, 노자 같은 그동안 읽기만 했던 책들도 쓰기 교본이 있는지 찾아보고 쓰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