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치도록 기발한 수학 천재들 - 수학에 빠진 천재들이 바꿔온 인류의 역사
송명진 지음 / 블랙피쉬 / 2022년 7월
평점 :
학창 시절 수학을 왜 공부하는 것일까 하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수학은 기초과학으로 수학을 모르고는 과학 분야의 연구를 해낼 수 없다.
특히 IT 기술이 중시되는 요즘은 특히 수학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거 같다.
자율주행이나 로봇 등등 시대를 이끄는 새로운 기술들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수학의 기본이 되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그 대표적인 예로 지금의 세계적인 IT 기술을 가진 나라는 인도이다.
한때 인도의 구구단을 따라 한다고 난리를 부리던 것도 생각나고 우리가 아라비아 숫자라고 부르는 1,2,3은 사실 인도에서 만들어졌다.
지금은 수학자라고 하면 그저 숫자를 만지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이 책에 등장하는 고대의 수학자들은 수학자인 동시에 철학자이다.
수학자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물이 이 책의 첫 장을 여는 피타고라스이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피타고라스는 한 명의 수학자를 넘어 피타고라스 학파이자 종교를 만들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단순히 수식만으로 기억하고 있는 피타고라스의 공식을 증명을 통해서 알 수 있고, 지구가 둥글다고 처음 말한 이 또한 피타고라스라고 하니 다시 한번 그가 얼마나 대단한 사람이었는지 알 수 있었다.
이 책을 읽다 보면 낯익은 이름과 내용이 등장한다.
'수학 오딧세이' 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등 평소에 수학에 관한 책들을 즐겨 읽으니 그런 건가 했는데 문득 괘 오래전에 재밌게 봤던 수학 다큐멘터리가 떠올랐다.
지금은 제목도 기억나지 않는 그 수학 다큐멘터리를 재방송까지 챙겨가면서 몇 번이나 봤었던 기억이 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수학 교과서인 '기하학 원론'의 저자 유클리드.
괘 오래전에 단순한 호기심으로 이 기하학 원론을 읽을 시도를 한 적이 있지만 이내 포기하고 말았다.
링컨 대통령도 매일 읽었다는 기하학 원론은 언젠가 다시 꼭 시도해 보고 싶은 책이지만 그 언젠가가 언제가 될지는 막막한 거 같다.
'모나리자의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다빈치가 성이 아니라 빈치 출신이라는 것은 예전에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의 스승이자 동료 중에 수학자인 루카 파치올리라는 인물이 있다는 것은 처음 알았다.
다빈치 노트를 비롯해서 다빈치에 대한 연구서나 책들을 읽다 보면 그가 과학자 겸 기술자라는 사실을 알 수 있고 특히 수학에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단순히 그가 천재이기도 했지만 누군가에게 수학을 배웠을 거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는데 이 책에서 그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었다.
'수학은 어렵다'
수능시험과 내신을 위해 매일 공식을 외우고 수식을 풀기에 급급했던 수학은 정말이지 어려웠고 힘들었다.
주식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빠지지 않는 것이 피보나치수열이라는 것도 초보에게는 괘나 신선했고 신기했다.
학창 시절의 고리타분한 수학과는 달리 이 책에 실린 수학자들의 이야기와 그들이 연구한 다양한 수학에 대한 이야기는 옛날이야기를 읽는 거 같아 재밌었다.
어린 시절 숫자들과 문제들만 가득했던 수학 책이 아닌 이 책처럼 수학자와 그들이 만든 공식에 대한 비하인드 스토리가 가득한 수학 책을 교재로 공부했다면 수학에 대한 두려움이 덜 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