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스의 국부론 - 인간 노동이 부를 낳는다 EBS 오늘 읽는 클래식
이재유 지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EBS BOOKS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덤 스미스의 이름도, '국부론'이라는 책의 서명도 처음 듣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대한민국에서 의무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니 전 세계의 누구라도 알고 있을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은 그만큼 세계적으로 유명한 저서이다.

하지만 이 유명하고 오래된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사람은 얼마나 될까~ 아마 그 숫자가 많지는 않을 것이다.

운 좋게도 나는 그중의 한 명이다

아주 오래전에 단순한 지적 호기심+지적 자만심으로 이 유명한 책을 읽었던 적이 있다.

이해를 완벽하게 하지는 못했지만 오기만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냈고 스스로 괘나 뿌듯해했던 추억이 있다.

학창 시절에 읽었던 국부론은 지적 자만심을 채워주기에는 충분했지만 그냥 인문서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하지만 다시 읽는 국부론은 먹고살기에 급급하게 만든 자본주의 경제 체계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었다.

"보이지 않는 손'으로 강한 인상을 남긴 스미스의 경제 사상은 괘나 냉정하게 보이지만 그의 사상은 근본은 타인에 대한 공감을 기본으로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스미스의 분배 정의관은 벤담의 공리주의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그의 생각은 '경제 결정론' 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노동자를 하나의 상품이나 동물로 보는 시선이 바탕에 깔려있다고 하니 의외이다.

특히 평생 독신으로 살면서 어머니와 함께 지낸 그가 여성을 노동력을 생산하는 수단으로만 봤다고 한다.

스미스의 자본주의를 가장 잘 표현하는 듯했던 '보이지 않는 손' 은 자본의 무심함이 아닌 인간의 욕구와 이기심이 언제가 적절하게 충족될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이를 역사와 문명의 발달이 가져온 자연스러운 법칙이라고 생각했다고 하니 '보이지 않는 손'이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느껴지는 거 같았다.

'모든 부의 근원은 인간의 노동이다.' 

노동자는 자본가의 자본을 늘이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의 근원은 노동이라니 그것도 자본주의를 대표하는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가 이런 말을 했다고 하니 의아했지만 그가 살았던 시대와 그가 접했던 사상들을 생각하면서 조금은 이해가 되었다.

모두가 자본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지금의 세상에서 노동은 더 이상 부의 근원은 아니지만 여전히 자본주의 사회를 지탱하고 있는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