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마다 티 푸드
메이 지음 / 브.레드(b.read)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티푸드라고 하면 달콤한 쿠키나 케이크, 마카롱 같은 디저트 종류만 생각했었다.

보통은 커피나 차를 자주 마시긴 하지만 대부분 식후에 입가심이나 차 자체만으로 즐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티푸드라고 하면 영화 속 귀부인들의 티타임에 등장하는 3단 트레이 정도만 생각했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에 등장하는 다양한 티푸드들을 보면서 이런 음식도 티푸드가 되는구나~ 하고 놀라움을 금치 못하는 괘 많아서 신선했다.

티 푸드라고 해서 예쁘고 깜찍한 모양의 달콤한 디저트 종류만을 생각했던 자신의 협소함에 조금은 어이가 없기도 했다.

언젠가 봤던 다도에 관한 예능 방송에서 숙우의 존재를 처음 알았다.

차라고 해서 모두 끓는 물을 바로 넣어 우리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니라는 것도 찻물을 차에 맞춰 식히고 차의 농도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 숙우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보면서 차를 마시는 시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지금까지 그저 인스턴트커피나 티백 차 한 잔을 마시는 것은 바쁜 업무시간에 한숨 돌리기+ 수분 공급 정도로만 여겼던 거 같다.

다도라고 하면 일본 드라마나 예능에서 봤던 말차를 거품이 날 때까지 휘젓던 모습이 먼저 떠오르는데 너무 저으면 차의 향이 날아간다는 사실은 처음 알게 된 거 같다.

봄이면 마당 안 텃밭에 키우는 아스파라거스를 따서 그냥 구워 먹었는데 살짝 데친 아스파라거스를 티푸드로 먹는다고 하니 신기했다.

우려내고 난 찻잎을 소금과 참기름으로 나물처럼 무쳐서 차와 함께 먹기도 하고 밥반찬으로 먹기도 한다고 하니 활용도가 좋은 거 같다.

티푸드라고 하면 홍차나 커피 등의 서양 차에는 과자나 케이크 녹차 등의 동양 차에서는 양갱이나 다식 같은 다과만 생각했는데 보기만 해도 상큼할 거 같은 오이 샌드위치도 이름조차도 낯선 참외 푸딩, 익힌 무화과 등 상상도 못한 방법으로 만들어낸 음식들이 등장한다.

차와 함께 먹는 티푸드이니 당연히 물기가 없는 음식만을 생각했는데 물기가 있거나 물에 담긴 형태의 티푸드도 있다는 점 또한 의아했다.

산삼병도 신기했지만 육포를 사용한 티푸드는 정말이지 상상도 못했던 조합이라 처음엔 당황스러웠지만 서양의 3단 트레이에 비하면 육포 티푸드는 가볍다는 생각도 들었다.

화산본이라는 일본 전통 설탕은 색상도 그렇지만 일본 내에서 생산되는 사탕수수를 원료로 사용한다는 점에서도 가격이 궁금해지기도 한다.

단맛뿐만 아니라 쓴맛, 짠맛 등등 다양한 티푸드가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고, 재료 또한 특별한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제철 야채나 과일 등 다양하게 재료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알 수 있어 티푸드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을 바꾸게 해주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