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신화 백과 - 한 권으로 끝내는 그리스 로마 신화 속 신, 영웅, 님페, 괴물, 장소,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아네트 기제케 지음, 이영아 옮김, 짐 티어니 삽화 / 지와사랑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보다가 문득 내가 처음 그리스 로마 신화를 접했던 그 시절에 이런 친절한 책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말도 안 되는 생각이 들었다.

초등학교 아니 국민학교 시절 교실 뒤 책장에서 아무도 읽지 않는 두껍고 오래된 듯한 낡은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은 것이 시작이었다.

지금은 학생들의 필독서가 된 그리스 로마 신화이지만 내 학창 시절에 이 책은 그저 별난 사람들이나 읽는 어려운 책에 불과했다.

책의 아무 곳이나 펴들어도 모르는 이름보다는 아는 이름이 더 많은 것도 그동안 얼마나 많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한 책들을 읽었는지 증명해 주는 사실 중 하나일 것이다.

많이 안다고 해서 전부 안다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처음 들어보는 이름의 신이나 영웅, 괴물들의 이름들을 발견하고 설명을 읽으면 어린 시절처럼 두근거린다.

조금 아쉬운 점이 있다면 작게나마 그렇게 유명하지 않은 신이나 괴물, 장소들의 삽화나 사진들이 있었다면 더욱 재밌을텐데하는 생각이 든다.

아테나는 너무 잘 알고 있지만 아테라는 이름의 '경솔한 어리석음' 을 의인화한 여신의 이름은 처음 보는 거 같다.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군의 대장이었던 아가멤돈의 어리석은 행동들이 이 아테 여신의 탓이라고 한다.

인간의 잘못을 신의 탓으로 돌리는 오만한 인간의 모습에 다시 한번 신화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거 같다.

아프로디테나 아폴론, 제우스 같은 유명 신들의 페이지는 역시나 이야깃거리가 많아서 그리스 로마 신화 자체를 읽는 거 같은 기분도 들었다.

신이나 영웅도 흥미진진하지만 여시 괴물들이 등장하는 페이지가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어쩔 수가 없는 거 같다.

어린 시절에도 신화의 주인공 역할인 신이나 영웅들보다 그들의 빛내주기 위해 등장했던 다양한 모습과 나름의 사연을 가진 괴물들이 더욱 인상적이었다.

메두사나 스칼라처럼 원래는 아름다운 인간이었으나 신들에게 미움을 받아 괴물로 변하고 영웅을 위한 희생물로 죽음을 맞이한 괴물들의 이야기는 어리시절과는 다른 느낌을 받았다.

정말 그 괴물들이 잘못해서 그렇게 된 것일까 하는, 지금은 사람들처럼 자신들보다 뛰어난 인간을 두고 볼 수 없었던 신들의 질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린 시절 신들이 산다는 단순한 이유만으로 가고 싶었던 올림푸스 산이며 예지의 신 아폴론의 델포이 신전은 이젠 그저 유명지에 불과하지만 이렇게 백과사전으로 읽는 재미는 쏠쏠했다.

신, 인간, 괴물, 장소로 나눈 것도 좋지만 그냥 통틀어 알파벳순으로 되었다면 더욱 찾아보기가 쉬웠을 거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동안에 읽었던 수많은 그리스 로마 신화 관련 책을 통해서 괘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아직까지도 알지 못했던 신이나 님프, 괴물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정작 잘 안다고 생각했던 등장인물들에 대해서도 알지 못했던 사실들을 알 수 있어 흥미진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