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가 꼭 알아야 할 부동산 주식 & 리츠 투자 - 주식 투자와 부동산 투자를 한번에
황태현 지음 / 황금부엉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식 계좌를 만들기 전에 주식 관련 책들을 읽으면서 ETF나 리츠에 대해서도 조금은 공부할 수 있었다.

주식 투자를 한지 몇 년이 지난 지인들도 종목 외엔 알지 못하는데 계좌도 없고 주식이라고는 전혀 경험도 없는 문외한이 이정도나 알면 괜찮은 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계좌를 만들고 알지도 못하는 종목보다는 안전하다는 ETF와 리츠를 먼저 매수했다.

대한민국은 재테크의 기본은 부동산이며 부동산만이 자산 증식에서 실패하지 않는 최고의 자산인 불패의 부동산 공화국이다.

하지만 부동산은 일단 거액이 있어야 하고 법적으로도 알아두어야 할 것이 많은데다 시세나 하루하루 늘어가는 정부의 제제 등 하고 싶다고 아무나 아무 때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부동산을 주주로 참가해서 그 부동산이 버는 수익을 배당금으로 받고 또 그 부동산 자체가 담보가 되니 얼마나 안전한 주식투자인가 하는 생각만으로 편하게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 책을 공부하면서 내가 알고 있던 리츠에 대한 지식들은 새 발의 피, 수박 겉핥기도 안되는 그저 포장지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가 투자하고 있는 리츠가 자기관리리츠인지, 위탁관리 리츠인지 정도는 알고 있었지만 그 외에는 배당금이 몇 % 인지만 주 관심사였다.

비상장 리츠 투자가 있다는 것도 미국 상장 리츠 투자에 대한 것도 제대로 알지 못했고, 기관투자자들에 리츠가 인기가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가끔 공지되던 투자제안서도 그냥 이번에 어느 건물을 사는구나 하는 정도로만 생각했었다.

오피스 자산 리츠나 물류센터 자산 리츠, 그리고 테이터센터를 자산으로 하는 리츠에 대한 것은 알았지만 레테일 자산 리츠에 대해서나 특히 개인투자자에게는 독사과라는 특수 목적자산 리츠에 대해 미리 공부할 수 있어 좋았다.

그저 조금이라도 높은 배당률에 속아 순이익도 없으면서 배당을 한다는 깡통 리츠에 대한 것은 특히 리츠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거 같았다.

무엇도 리츠에도 보통주와 우선주가 있다는 것과 별도의 공시가 없는 리츠는 99.9%가 우선주라는 사실을 이제야 안 것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

또한 우선주의 배당금은 해당 건물의 유지 관리비로 사용될 수는 있지만 그 건물의 소유권 보통주의 주주들 것이라는 것 또한 리츠 투자자들 중 몇 명이나 제대로 알고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까지 이런 리츠에 대한 기본적인 것들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리츠에 투자한다고 생각했던 무력함에 어이가 없어진다.

포토에서 몇 %를 리츠로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것조차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해당 리츠의 주가가 오르는 이유가 부동산 관점과 주식 관점이 따로 있다는 것도 그 본질적인 이유에 대해서도 전혀 알지 못했다.

이 책에서 내가 소유하고 있는 리츠들에 대한 글을 읽으면서 나는 도대체 뭘 알고 이 리츠 종목들을 매수했는지에 대해 이번 기회에 곰곰이 생각해 볼 수 있게 된 거 같다.

미국 상장리츠는 예전에 경제방송에서 미국은 데이터 센터를 기반으로 하는 리츠가 지금의 미국의 성장에 맞는다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났다.

국내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리츠도 몇몇 개를 본 적이 있지만 초보 주제에 선뜻 투자를 하기엔 모르는 것이 너무 많아서 망설이기만 했었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가 알려주는 미국 상장 리츠 종목 분석은 앞으로 어떤 리츠를 공부해야 하는지 길을 알려주는 거 같았다.

지금까지 그저 소액으로 할 수 있는 부동산 투자 정도로만 생각했던 리츠에 대해 제대로 공부할 수 있었고 앞으로 더 공부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다.

리츠업계의 위험 변수가 단순히 경기나 그 건물 가격의 하락, 세입자의 수나 매출 상황뿐만이 아니라 금리며 주가, 연준의 자산매입, 환율까지 관련이 있다는 것 또한 뒤늦게 생각할 수 있었다.

2020년 처음 주식 계좌를 만들고 처음 매수했던 롯데 리츠~ 처음 받았던 배당금에 들떠있기만 했었는데 리츠는 배당금만 많이 주면 그만인 그런 간단한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을 이제야 제대로 알게 되었고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알게 되어서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