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모두의 미래를 짓다 - 건축 너머의 세계를 향한 치열한 질문과 성찰 서가명강 시리즈 17
김광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가명강 시리즈도 벌써 17번째 책이다.

이번 책은 건축에 대한 이야기다.

건축이라고 하면 건축물, 흔히 길에서 보는 빌딩들이나 가끔씩 가우디나 김수근처럼 유명한 건축가들이 지은 예술적인 건물이나 눈에 띄는 근사한 주택들만을 생각했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누가 지었는지 알지 못하는 낡아서 보기 싫은 길거리의 건물들도, 아무런 개성도 없이 도심을 가득 채운 아파트들도 건축의 일부이다.

이 책의 저자는 서울대 건축과의 명예교수님이시라고 한다.

건축은 모든 예술이 담긴 종합적인 예술의 결과물이라는 것을 예전에 읽은 어느 책에서 본 적이 있다.

하지만 저자는 건축이 예술이 아니 사회의 나쁜 점이든 좋은 점이든 드러낸 역사의 발자취이고 현재 사회의 모습을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낸 결과물이라고 한다.

건축은 지금까지 발전한 지식과 과학기술의 총체이기도 하지만 인간이 아닌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 그 모든 것이 건축일 것이다.

"건축은 과거와 기억을 간직하는 사물'이라는 저자의 글은 처음부터 강한 인상을 남겼다.

단순히 건축이나 건축가, 건축물에 대한 일반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건축의 근원적인 존재 이유부터 인간 사회의 발전과 함께한 건축의 발자취를 인문학적인 시선으로 그려내고 있다.

또한 더 이상 사람이 살아가는 공간으로서의 기능보다는 재산의 일부분으로 기능하게 된 건축의 가치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었다.

누군가 한 사람만을 위한 건축도 물른 가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건축은 앞서 말한 대로 과거와 기억을 간직하는 특수한 면을 지닌 사물로 한번 짓거나 만든 건축물은 그 자리에서 시간과 함께 사회의 간섭 아래서 변화되어 간다.

건축에 대한 어려운 인문학적 이야기는 사실 이해가 잘 가지 않았지만 LH 사태처럼 '집'이 갖는 의미가 유난히 큰 대한민국에서의 건축, 건축물로 표현되는 집단 이기심이나 그로 인해 가지지 못한 자들의 상실감 또한 이 시대의 건축물이 지닌 암울한 일면일 것이라는 생각이 하니 이런 사람들이 과연 공공의 미래를 위한 건축을 꿈꿀 수나 있을까 하는 의구심도 들었다.

파리의 어느 공원에 있는 낡은 의자들처럼 모든 사람들이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자신들이 원하는 장소에 가져가 앉아서 원하는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것이야말로 건축의 궁극적인 모습이 아닐까 생각되었다.

건축은 지금 이 순간을 사는 우리들의 전유물이 아닌 다음 세대와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의 공유일 것이다.

지금 우리를 둘러싼 수많은 건물과 우리 숨 쉬고 생활하는 거의 모든 공간이 건축의 일부이다.

건축이 지닌 사회적인 역할이나 의미, 그리고 그것이 미래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 등 건축과는 상관없다고 생각했던 것들마저도 건축의 일부였다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면서 알았고 생각해 보게 된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