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속마음, 심리학자들의 명언 700 - 한권으로 인간 심리세계를 통찰하는 심리학 여행서
김태현 지음 / 리텍콘텐츠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은 모험을 통해서만 성장할 수 있다.

첫 장에 등장하는 프로이트나 그다음의 장의 융 그리고 2장의 본능 편에 등장하는 아들러, 프롬, 5장에 등장하는 치알드니, 칙센트미하이 등 이 책의 서명을 보는 순간 등장할 거라 생각했던 인물들이 당연한 듯이 한자리를 차지하고 등장했다.

특히 프로이트는 초등학교 6학년에 우연히 읽었던 '꿈의 해석'을 시작으로 나의 학창시절을 괘 오랜 시간 함께 보냈기에 이 책에서 다시 만난 프로이트는 더욱 인상적이었다.

우리의 운명은 결국 스스로의 의식과 무의식이 만들어 낸다.

칼 구스타프 융에 대한 것은 프로이트의 다음 수순으로 1에서 2로 넘어가는 것이 나에게도 당연한 수순이었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3번째 등장하는 말콤 글래드웰은 이 책에서 만나니 의외였다.

'다윗과 골리앗'을 시작으로 읽기 시작한 그의 저서들을 재밌게 읽었지만 한순간도 그가 심리학자라거나 그의 저서가 심리학 서적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기에 낯설었지만 역시나 아는 이름과 어디선가 본 적이 있는 글귀를 다시 접하는 것은 반가운 일이었다.

탓하는 만큼 통제받는 인생을 살게 되기 때문이다.

한때 줄을 서서 읽었던 미움받을 용기에 대한 부분 역시 당시에 책을 읽을 땐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 이제야 생각해 볼 수 있었고, 거짓말쟁이들의 비밀 신호는 재밌으면서 실생활에서 확인해 볼 수 있을 거 같아 더욱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사이비에 대한 호퍼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올 한해 코로나와 함께 뜨거웠던 신천지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교리에 빠진 이들에 대한 이해도를 조금은 높여주는 거 같았다.

우리에게 일어나는 대부분의 일은 우리 스스로가 원인인 셈이다.

처음에는 그저 심리학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명언들을 찾아서 읽어보겠다는 단순한 생각에서 읽어나갔지만, 읽다 보니 그들의 저서를 읽으며 생각했던 것들도 다시 생각하게 되었고, 당시에는 생각지도 못한 부분에 대해서도 알게 되고 또 생각하게 되었다.

이미 너무나 유명한 심리학자와 그의 저서들에 대한 부분도 흥미로웠고, 이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된 심리학자들이나 그들의 명언, 그들의 저서들에 대해서도 알 수 있어 시간이 된다면 그들의 저서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나 자신과 다른 사람의 목표를 세우는데

'작은' 변화를 만드는 것이 곧 큰 차이를 만들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