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과의 브런치
반지현 지음 / 나무옆의자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님 그리고 브런치~

생각해보면 딱히 특별할 것도 없는데 왠지 이 두 단어가 나란히 있는 것은 괘나 생소한 느낌이 든다.

스님도 브런치를 즐길 수 있고, 스님도 카페에서 근사한 브런치를 즐길 권리가 있다는 것 정도는 당연히 알고 있지만 브런치라는 서양식과 스님 하면 떠오르는 사찰음식이 주는 이질감은 예상보다 커다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책에 실린 에피소드마다 등장하는 사찰음식을 보면서 기존에 내가 생각했던 사찰음식과 많은 차이가 난다는 것도, 당연한 이야기지만 사찰음식 또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달라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사찰음식 마니아~

책을 읽으면서 느껴지는 저자의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사찰음식을 즐기는 수준이 아닌 거 같았다.

처음 저자가 회사를 쉬기 위해 갔다는 템플 스테이에서 먹었다던 먹기 아까울 정도로 예쁘기까지 했다던 사찰음식의 정체에 대한 궁금증도 생긴다.

음식은 맛이 아닌 약으로 먹는다는 저자의 사찰음식 스승님의 이야기는 사실 아픈 후로 내가 입에 달고 사는 말이다.

예전의 나는 음식은 무조건 맛있어야 한다는 물른 내게 맛있다는 것은 맵고, 짜고, 달고 그것도 남들보다 아주 자극적인 맛이어야 했다.

이런 내가 음식의 맛이 아닌 약으로 먹고 있으며 맛이 있고 없고가 아닌 그 음식의 성분이 지금 내 건강에 필요하냐 아니냐가 중요한 기준이 되었고, 그 후로 어쩌면 당연한 수순인지도 모르겠지만 사찰음식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사찰음식은 그 이름에서 채식 위주의 정갈하고 몸에 좋은 음식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거 같다.

한때 유행했던 슬로푸드와 비건과는 다른 한 단계 위의 음식으로 동물성이나 자극적인 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건강에도 좋은, 그저 단순하게 채식만 생각했던 내게 다른 생명을 탐하지 않는다는 문구는 인상에 남았다.

'잘 먹겠습니다' 라는 식전 인사를 하는 아직까지 익숙하지 않지만 좋은 식습관의 시작이라고 생각했다.

불교에서도 이 인사가 있다는 것을 그 인사가 '오관계' 계송이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고, 저자의 변화를 읽으면서 스스로를 돌아보게 되었다.

"이 음식은 어디서 왔는고.

내 덕행으로 받기 부끄럽네.

마음의 온갖 욕심 버리고.

몸을 지탱하는 약으로 삼아.

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마음이 어수선한 날이면 아주 자극적인 특히 아주 매운 음식을 찾아서 먹고 했었다.

마음의 파도를 잠재우는 방법으로 저자는 순한 음식을 차리고 천천히 맛보며 마음을 다독여 주었다는 글에 지금까지 내가 뭘 한 건가 싶은 생각도 들었다.

저자가 사찰요리를 배웠던 시간을 단순히 요리를 잘 하기 위한 시간이 아닌 스님의 지도 아래 수행을 했다는 표현이 맞을 거 같다.

"평가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누군가를 묵묵히 믿고 기다리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없다."

재료들 앞에서 안달복달하면 재료가 얕본다는 스님의 말의 의미에 대해 그저 조심하고 또 조심하면서 그것이 신중한 것이라 생각했던 스스로에게 저자가 한 '쫄지 마~ 인생이 얕보니까!" 한 말이 비수처럼 와닿기도 했다.

고명은 사실 나 역시도 그저 부수적인 데커레이션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내개 오로지 당신 한 사람만을 위해 준비한 음식'이란 증거라는 글에 마음속이 조금 울컥해졌다.

나 역시도 저자처럼 대충 끼니나 때우면 되지 하면서 살았던 사람이기에 더욱 와닿았는 거 같다.

뿌리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뿌리 하면 일단 단단하고 쓴맛이 나는 맛없는 식재료라는 인상이 강하지만 생각해보면 나 역시도 몸이 안 좋아진 이후로는 뿌리 식재료로 만든 음식으로 약으로 먹고 있다.

책에 실린 육근탕은 단순한 음식이 아닌 세상에 "뿌리"가 되는 사람들의 이야기까지 담고 있는 거 같았다.

'간장'은 항상 나 역시도 마트에 갈 때마다 종류가 왜 이리 많은 거야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요즘은 마트 간장을 거의 사지 않는다.

매년 겨울이면 장을 담그시는 어머니의 집간장으로 맛간장을 만들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맛의 간장을 직접 만들어서 먹고 있다.

'간장으로 현재, 과거, 미래를 오가며 타임 리프트를 할 수 있는 것도, 간장을 생명줄이라고 한 것도 결코 과장이 아니다'

처음엔 시판되는 간장의 자극적인 맛에 길들여진 입맛이라 힘들었지만 직접 농사지은 무농약 콩으로 메주를 만들고 된장과 간장을 만들어서 먹는 것이 약을 먹는 것과 같다는 것을 알기에 그리고 스님이 말씀하신 '단백한' 맛을 느낄 수 있어 더욱 좋은 거 같다.

늘 별생각 없이 봤던 우리 집 마당의 간장 항아리를 보면서 저자의 말에 대해 '간장'이 얼마나 대단한 아이인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사찰요리의 정신은 나와 남이 다르지 않다는 뜻의 자타불이(自他不二)다."

보이차 밥이나 오미자 딸기 국수와 같이 전혀 상상하지 못했던 식재료들의 조합 또한 사찰음식의 매력이라는 것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돼지고기를 못 드셔서 시중에 파는 만두 하나를 먹어본 적이 없으신 어머니께 "애호박 만두'를 꼭 알려드리고 싶었다.

생각해보니 나 역시도 어린 시절엔 애호박이 싫었는데 이제 애호박을 골라서 찾아 먹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웠다.

생각해보면 저자뿐만 아니라 요즘 사람들 대부분이 '지혜' 와 '요령'을 착각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지금 내가 생각하는 지혜가 그저 요령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이 책을 통해서 얻은 거 같다.

시골에서 사니 냉장고에 특히 냉동실에 갖가지 마른 나물들이 언제나 가득하다.

봄이나 여름, 가을밭에서 산에서 나는 갖가지 나물을 뜯어서 삶은 후에 말려 보관하면 언제든 먹을 수 있다.

묵나물~ 늘 먹으면서도 '묵나물- 묵은 나물'이라는 것도 제대로 알지 못했다.

'사람이 먹을 수 있는 풀이나 나뭇잎 따위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라는 나물의 의미 또한 정확하게 알지 못했었다.

묵나물은 준비하는 과정이 물도 많이 주고 온기도 주며 마치 봄에 돋아날 새싹을 기다리는 과정과 비슷하다는 저자의 글에 고개가 끄덕여졌다.

사찰 짬뽕은 역시 맛이 궁금했고 고기를 즐기지 않은 사람들도 부담 없이 맛있는 짬뽕을 먹을 수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찰 짬뽕이라는 말이 낯설기는 하지만 이 또한 사찰음식에 대한 고리타분한 선입견에 불과한 것이라는 것을 이제는 알게 되었다.

"익으면 투명해진다'

저자처럼 오래도록 죽을 젓던 감각을 기억해내며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면, 저자가 자신도 모르게 수행을 했던 사찰음식 만들기 교실에서 배웠던 것들을 이 책을 통해 조금이나 배울 수 있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