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은 어떻게 생각하고 배우고 기억하는가 - 하버드 최고의 뇌과학 강의
제레드 쿠니 호바스 지음, 김나연 옮김 / 토네이도 / 2020년 3월
평점 :
같은 책을 같은 시간을 공부해도 결과는 전혀 다르다.
우리는 그럴 때마다 쉽게 결과가 좋은 쪽은 타고난 머리가 좋다고 그렇게 결정지어 버린다.
하지만 그 머리가 좋다는 말이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고 또 두뇌의 어떤 영역에서 어떤 일을 하는 결과인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물른 유전적으로 타고나는 지능의 차이는 틀림없이 있고, 그건 우리가 어쩔 수 없는 것이다.
저자의 책의 첫 페이지에서 커뮤니케이션은 대화가 아니라 과학이라며 뇌과학자로서의 의견을 말한다.
예전에 어느 책에서도 멀티태스킹은 사실은 불가능할뿐더러 비합리적인 방법이라고 했었던 것이 기억났다
다양한 회의나 프레젠테이션 등에서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했던 자료를 보면서 설명을 드는 방법이 결국 발표자나 의해 면에서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 충격적이었다.
청각과 시각을 어떻게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 것인지에 대한 지금까지의 생각들이 틀렸다는 것 또한 인상적이었다.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예측을 깨라니 처음엔 무슨 말인가 했었지만 그 방법에 대해 읽으면서 뇌라는 것에 대한 이해를 더 잘 할 수 있게 되는 거 같기도 했다.
학습에 대한 부분이라든가 접근자나 순서 정리자에 대한 부분 역시 생각지도 못했던 것들이라 괘 신선하고 재밌게 읽을 수 있었다.
오류에 대한 것들이나 메타포에 대한 부분도 저자의 생각들에 처음에는 의아해했지만 잠시 시간을 두고 생각해볼 수 있어 좋았던 거 같다.
마케팅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았지만 랜드마크로 만드는 것은 생각하지 못했었다.
스트레스에 대한 부분에서는 느낌이나 감정 등 모든 것들이 그 현상 자체가 아닌 어떤 식으로 해석하느냐가 중요하다는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들에 살짝 실망도 했지만 뉴런과의 관련성을 읽으면서 발전적인 스트레스 관리법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었던 거 같다.
처음에는 그저 하버드 최고의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를 효율적으로 잘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으리라는 기대에서 읽었다.
그저 책에서 나오는 방법들을 따라 해보는 것도 괘 괜찮을지도 모르겠지만 저자는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를 제대로 설명해 주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뇌가 지닌 신비로운 능력과 그 능력의 한계에 대해서도 들려주니 더욱 흥미진진하게 뇌가하는 여러 가지 활동에 대해서 알 수 있었던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