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버드 인생학 특강 - 세계 최고 지성들을 울린 마지막 강의ㆍ마지막 질문
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제임스 올워스.캐런 딜론 지음, 이진원 옮김, 이호욱 감수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2월
평점 :
벌써 시간이 얼마나 지났는지도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한때 열풍을 일으켰던 '정의란 무엇인가' 를 시작으로 세계 유명 대학의 강의를 책으로 많이도 읽었던 거 같다.
특히 세계 최고의 명문 대학인 하버드 대학의 강의를 책으로 읽을 수 있다는 것은 지적 자만심을 채워주는 작은 선물 같아서 눈에 띄는대로 읽었다.
하지만 이 책은 주제부터 지금까지 읽었던 하버드 특강들과는 내용이 판이하게 다르다.
지금까지 읽었던 하버드의 명강의들은 성공을 위한 세계 최고의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은 어떤 것을 배우고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시작부터 그런 성공을 거둔 이들이 결과적으로 인생을 불행하게 사는 경우도 많다는 생각해보면 조금은 힘 빠지고 인생이 허무하다는 생각마저도 살짝 들었다.
암으로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교수님이 자신의 하버드 경영 대학원 동창들과 자신의 삶을 관찰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이야기라는 점에서 더욱 관심이 갔다
무엇이 우리를 춤추게 하는가부터 마지막 당신의 인생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까지 사실 처음에는 그저 죽음 직전의 하버드 교수님이 어떤 이야기를 학생들에게 들려줄지 대강 짐작은 갔지만 똑똑한 사람들의 삶이 왜 불행해졌는지에 대해 저자의 관점에서 이야기 들려준다.
저자가 인간관계에서 '이론'이 갖는 힘에 대해 설명해 주고 그 이론들로 이용해 다양한 상황에서의 이론을 적용해 설명해 준다.
특히 나쁜 돈 좋은 돈에 대한 부분에서 부모와 아이 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지금까지는 생각하지 못했던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능력 이론에서의 '한 번만"의 유혹이 얼마나 위험한지 대기업의 몰락을 통해서 더욱 절실하게 알 수 있었던 거 같다.
어떤 인생을 살았던 죽음 앞에서는 평등하다고 위안 삼았지만 조금이나마 나은 인생으로 살기 위해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이 죽음을 앞둔 노교수님의 조언은 읽으면서 지금까지의 인생에 대한 후회가 들었고 앞으로는 조금이나마 덜 후회할 수 있는 인생을 만들 수 있다면 하는 생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