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호모 사피엔스만 살아남았을까? - 전곡선사박물관장이 알려주는 인류 진화의 34가지 흥미로운 비밀
이한용 지음 / 채륜서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로 시작하는 인류의 변화 과정은 학창시절 외우던 기억나지만 그 가운데 있는 몇몇 이름들은 이제 들으면 아~ 할까 호모사피엔스, 크로마뇽인 외엔 잘 기억도 나지 않는다.

호모 사피엔스는 지금 지구에 존재하는 현생인류라는 것만 어렴풋이 알고 있다.

누군가가 말했다.

강한 것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것이 강한 것이라고~~

이 책에서도 등장하는 호모 사피엔스보다 강했던 네안데르탈인 지금은 화석으로나 만날 수 있다.

같은 시기에 살았으며 모든 조건에서 월등했던 네안데르탈인은 땅속 깊이 잠든 화석이 되었고 호모 사피엔스의 후손들에 발견되고 연구되고 있다.

원시 인류라고만 생각했던 네안데르탈인도 호모사피엔스처럼 사회성도 있고 예술도 알았던 종족이었다는 것이 최근에 발견되는 그들이 남긴 그림이나 악기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다고 한다.

이 책의 전곡선사 박물관장으로 구석기시대를 전문으로 하는 고고학자라고 한다.

고고학자라고 하면 아마 대부분이 '인디아나 존스'를 생각하지 않을까~ 하지만 고고학에 대해 조금이라도 안다면 저자의 땅을 파는 학문이라는 설명이 이해가 갈 것이다.

몇 년 전에 국립 중앙 박물관을 가서 구석기 유물이며 신석기 유물을 등을 책이나 사진이 아닌 실제로 처음 봤었다

학창시절 배우기는 했지만 시간도 많이 지났고, 사실 시대별로 중요한 물건이나 유적 등 시험에 나오는 것들만 달달 외웠지 이 책에서처럼 왜 그런 모양이 되었고 그 모양들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는 배운 기억이 없다.

인류의 진화에 대해서도 흔히 말하는 교양 정도의 수준만 유지하고 있었는데 이 책을 통해서 지금까지 이름만 알았던 인류의 조상들과 그들의 생활에 대해서도 알 수 있어서 좋았던 거 같다.

석기라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 형태는 어떠한지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 수 있었던 거 같다.

'사용혼흔적'이라는 생소한 단어도 처음 알게 되었다.

흑요석이 원산지에 따하 구성 성분이 달라서 과학적 분석을 통해 그 원산지를 추정할 수 있다는 것도 신기했다.

대한민국의 전곡리가 동아시아 최초의 구석기 유적이라는 것도 일본의 고고학자 구석기 유적으로 자기 나라의 역사를 사기를 치다가 방송사의 카메라 걸린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하나도 상관이 없을 거 같은 벽돌 공장과 구석기 유적의 관계도 재밌었다.

벽돌을 만드는 점토가 구석기 시대에 퇴적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벽돌 공장의 돌무더기는 구석기 학자들에게 보물섬 같은 존재라고 한다.

주먹도끼는 인류의 사고력이 본격적으로 발휘된 가장 오래된 증거라고 한다.

고인류가 잡아먹던 물고기의 80% 이상이 매기이며 그 이유는 매기가 느리기 때문이라고 한다.

2만 9천 년에 사용된 그물추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그물추라고 하니 물고기는 오래전부터 인류에게 중요한 식량이었던 거 같다.

귀 달린 바늘이 이렇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을지는 상상도 하지 못했다.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역사의 차이는 빙하기를 거치는 동안에 이 귀 달린 바늘로 인해 달라진 것이라고 한다.

종교와 축제의 의미로만 생각했던 동굴벽화는 사냥 교과서 같은 역할도 했다고 한다.

함정 사냥을 그린 동굴벽화도 있다고 하니 고인류를 원시인이라는 말로 표현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이라는 것을 이번 기회에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었던 거 같다.

앞서 일본의 경우가 말해주듯 구석기 시대의 유적이 있다는 것은 일종의 국격을 높여준다고 생각되고 있어 구석기 시대의 연구가 더욱 중요한 이유라고 하니 이해가 안 가는 것은 아니지만 어차피 같은 인류인데 하는 생각에 어이가 없어지는 거 같기도 하다.

역사 교과서 가장 앞부분의 2-3페이지 많아야 5페이지를 넘기지 않았던 석기시대에 이렇게 다양한 일들이 있었고 그 가운데서 인류의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는 버터 내서 현생 인류가 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던 거 같다.

사실 이 책은 내용면에서도 흥미진진하고 재밌었지만 저자가 말하는 다양한 석기들이나 미술작품들은 사실 설명만으로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작은 흑백으로라도 사진이 있었다면 하는 생각이 책을 읽는 내내 들어서 아쉬웠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저자처럼 구석기 전문가도 아니고 글로만 설명을 읽어서는 그 물건의 모습이 잘 상상이 되지 않을 거 같다.

저작권이나 그런 문제라면 조금 허접하더라도 손그림이라도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책을 다 읽을 때까지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