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플라톤의 대화편 ㅣ 현대지성 클래식 28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11월
평점 :
그 유명한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드디어 읽었다.
뿐만 아니라 제목만 들아왔던 크리톤, 파이돈, 향연도 읽을 수 있어 더없이 좋은 기회였다.
사실 소크라테스의 변명은 내용을 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유명한 이야기이지만 이렇게 전체를 제대로 다 읽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닌가 싶다.
늘 읽어봐야지~ 하면 피일 차일 미루다가 그리스어 완전 완역본으로 읽을 수 있어 더욱 감회가 새로웠다.
이 글의 저자는 소크라테스의 제자이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인 플라톤이다.
스승인 소크라테스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가 평민에 평범한 사람인데 비해 플라톤은 귀족 집안의 외모까지 출중한 사람이었다고 한다.
이런 배경을 가진 사람이 왜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으며, 나중에 그의 정치적 입장에 대해서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던 거 같다.
아무런 죄도 없는 스승이 독약을 먹고 죽자 그는 자신의 나라 아테네의 정치판에 더 이상 희망이 없다며 떠났다고 한다.
이 네 편의 글을 읽다 보면 소크라테스가 직접 말하는 방식이긴 하지만 이 글들의 저자는 소크라테스가 아닌 플라톤이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고, 공자의 제자들이 나중에 공자의 사상을 책으로 낸 것과 비슷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수제자인 플라톤의 비친 스승 소크라테스와 그를 죽이려 하는 어리석은 아테네의 정치인들에 대한 시선을 읽으면서 2000여 년이 지난 지금의 현실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생각도 들었다.
변명과 향연은 예전에 몇 번인가 조금씩 읽은 적이 있어서 어느 정도 익숙했지만 크리톤과 파이돈은 처음 읽어서인지 신선하고 흥미로웠다.
특히 크리톤은 소크라테스의 초연함이 단순히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아서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런 친구이자 스승의 죽음을 대한, 크리톤의 당시 정치에 대한 절망감을 느낄 수 있었던 거 같다.
읽기 전에는 너무 어렵지 않을까 걱정도 했었지만 생각보다 재밌게 읽을 수 있어 스스로가 만든 선입견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었던 기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