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칸트인가 - 인류 정신사를 완전히 뒤바꾼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서가명강 시리즈 5
김상환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가명당' 이 시리즈의 다섯 번째 책이 나왔다.

지난 네 권을 괘 흥미진진하게 읽었기에 이번에는 어떤 내용일까 궁금했다.

"왜 칸트인가"

우와~ 이번에는 철학 그것도 칸트가 주제구나 하는 생각과 우리나라 최고의 지성들이 모인 곳이니 당연히 철학, 철학하면 칸트가 주제에 오르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는 것을 생각하면서도 지금까지의 서강명당의 책들이 생각보다 실생활에 밀접한 주제들이었기에 전혀 생각지도 못한 부분도 있었다.

엠마뉴엘 칸트~

'실천이성비판'과 '순수이성비판'은 나 역시도 학창시절 수차례 들었던 적이 있기도 하고, 몇 년 전에 읽었던 인생 교과서 시리즈에서 칸트에서도 읽은 적이 있어 부분적으로 기억하고 있다.

하지만 언제 접해도 칸트에 대한 책을 그렇게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거 같다.

칸트의 저서의 제목이나 내용에 대한 이해는 전공자가 아니고서는 무리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있지만 그럼에도 그에 대한 지적 호기심에 읽게 되는 거 같다.

아무리 디자인을 예쁘게 해도 칸트는 칸트구나~ 하는 생각을 하며 집에서 편하게 읽을 생각을 포기하고 토요일 오전과 오후를 시험공부를 하는 중고생들 틈에서 읽어나갔다.

이 책을 통해서 칸트의 비판서가 원래는 "판단력 비판'과 함께 3시리즈였다는 것도 뒤늦게 알았다.

칸트의 철학을 글로만이 아닌 도식이나 표등으로 표현해주어 이해를 도와주는 점은 이 책의 좋은 점인 거 같다.

비판이라는 말이 원해 그리스어 '자른다'라는 의미를 지닌 '크리네인' 에서 유래되었다는 점도 생각해보면 재밌는 일인 거 같다.

칸트가 그저 책상머리 철학자가 아닌 강단 철학자라는 것도 의외였다.

당시 스스로 여유로운 귀족이거나 귀족의 후원으로 연구를 했던 다른 철학자들에 비해 그는 최초의 대학교수 철학자였고. 대학 총장도 두 번이나 역임했고, 은퇴 후에도 저작 활동을 하며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고 하니 가장 이상적인 철학자의 삶을 살았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거 같다.

어쩌면 그런 그이기에 인간에 대한 이토록 심도 있는 사유와 연구를 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칸트가 서양철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유는 철학의 중심을 신이 아닌 인간으로 가져왔기 때문일 것이다.

인간을 그저 신의 창조물이 아닌 이성과 사유의 능력을 지닌 존재로 보았고 경험적 차원의 지식들로 스스로의 이념을 체계화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지금이야 당연하게 생각되는 것들에 대한 칸트는 철학사적으로 그 시작을 열었고, 지금 우리가 고민하고 있는 많은 부분들에 사고의 중요성을 알려준 철학자가 아닐까 생각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