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공을 부르는 운 - 보통의 당신을 성공으로 이끄는 운을 모으는 기술
노로 에이시로 지음, 이현욱 옮김 / 해의시간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이제 정말 올해도 얼마 남지 않았다.
연말이면 항상 올해 게획 했던 일 중에 하지 못한 일에 대한 아쉬움이 남는 것은 누구나 같을 것이다.
그리고 며칠이면 다가올 내년에 대한 기대감과 내년에는 꼭~ 하고 바라는 일들을 생각하는 것 또한 누구나 비슷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올해의 마무리와 내년의 시작을 운 좋은 사람으로 성공을 바라는 마음으로 나는 이 책을 읽었다.
성공을 부르는 운~
듣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진다.
다양한 의미에서 "운 좋은 사람", "행운아"는 누구나 자신이 되고 싶고 꿈꾸는 이상형일 것이다.
책의 시작에서 직원을 뽑는 면접에서 운이 좋은지 나쁜지~ 를 묻는 회사가 있다는 이야기에 처음에는 잘 이해가 가지 않았다.
하지만 "운이 좋은 사람이 긍정적인 사고를 하고, 그 좋은 운을 회사에도 나눠주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나니 확실히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의 경우 항상 일을 시작할 때 먼저 일어날 수 있는 가장 나쁜 일을 먼저 생각하고 거기에 대한 방비책을 생각해두는 편이었다.
그래야 만약 그 나쁜 일이 일어났을 때 당황하지 않고 대응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냉정하고 현실적이라고 생각하는 편이었는데 나의 이 '현실적' 이라는 말이 가능성의 싹을 밟아버릴 수도 있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었다.
저자처럼 행운은 일상에서 발견하는 것이라는 것도 또한 믿는 만큼 무한하다는 생각도 해본 적이 없었다
꿈을 간직하는 것이야말로 운을 발견하는 힘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일단 자신이 하고 싶은 일들을 눈에 띄는 곳에 적어두고 그 일에 대한 욕심을 키우는 것도 행운을 부르는 시작이라고 한다.
사상 최대의 취업난으로 무엇보다 면접의 중요성이 커진 요즘 저자는 면접은 그저 입사시험의 하나가 아닌 미래의 내 일터가 될 곳을 미리 답사하는 것이라고 것도 좋다고 한다.
새로운 것과 운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누구도 가지 않은 길이기에 아주 많은 "운"이 묻혀 있고, 그 운을 주운 사람이 아직 아무도 없다는 것은 그 '운'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 중에 한 명인 말콤 글래드웰의 저서 중에 아직 읽지 못한 '블링크- 첫 2초 의 힘' 이라는 책에 대한 것도 알 수 있었다.
2019년 읽어야 할 책 목록에 잊지 않고 넣어두어야겠다.
운이 좋은 사람은 운이 자신에게 오가만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운을 찾아다닌다는 부분도 고개가 끄덕여졌다.
운은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며 단지 행동함으로써 더 많은 행운을 잡을 수 있다는 것도, 운은 엉덩이가 가벼운 사람을 좋아한다는 것과 같의 의미일 것이다.
'긴히 드릴 말씀이 있는데...', '상당하고 싶은 것이 있는데...' 등의 말로 다가오는 사람은 경계해야 하고, '사람 좋아 보인다.'는 말이 칭찬이 아니라는 것도 명심해야겠다.
앞날을 예측하는 것은 현실적이고, 냉철한 것이 아니라 단지 스스로 자신의 운을 포기하는 나쁜 버릇일 뿐이라는 것도 공감이 갔다.
얼마 전에 타계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의 "나는 운이 좋았다. 왜냐하면 뇌는 근육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라는 말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한 번 더 알 수 있게 된 것은 정말 운은 좋은 사람들은 아무 노력도 하지 않은데 그냥 운이 좋은 것이 아니라 작게는 자신의 주변의 작은 일부터 스스로 케어하며 준비를 철저하게 한다는 사실이었다.
항상 웃으며 좋은 일을 하고, 남에게도 자신들의 행운을 나눠 줄 수 있고, 자신이 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기 위해 작은 부분도 놓치지 않고 노력을 하며 철저하게 준비와 공부를 하니 실패를 하려야 할 수가 없는 것이라 생각되었다.
운이 좋은 사람이라며 부러워만 할 것이 아니라 그들이 누리는 행운의 이면에 숨은 노력을 알 수 있었고, 저자의 조언들이 어렵지 않으며 일상생활에서 조금만 더 주의를 기울이면 스스로 역시도 '운이 좋은 사람'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었다.
앍는 내내 기분이 좋아지고 앞으로 내가 노력으로 누릴 수 있을 나의 행운에 대해 기대감이 생기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