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왜 그렇게 생각할까? - 2019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도서
아트 마크먼 외 지음, 이은빈 외 옮김 / 글로벌콘텐츠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무언가를 생각하고 결정할 때 그것이 자신의 의지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심리학이나 뇌과학 책을 읽어보면 결코 그것이 내 의지라기보다는 뇌가 그동안 진화로 인해 나온 결과물일뿐 그것은 내 의지도 아닐뿐더러 합리적인 선택과도 거리가 먼 것들이 많다.

뇌~ 나의 뇌는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뇌" 자체를 위해서 판단하고 결정하는 것이라고 예전에 읽은 어느 책이 생각난다.

이 책은 뇌과학자가 처음부터 책을 쓴 책이 아닌 인기 팟캐스트의 쇼호스트 두 사람이 방송을 한 내용을 책으로 낸 것이라고 한다. 

 

차음에는 늘 하던대로 첫 페이지부터 차근차근 읽어나가다 반정도를 읽고 나서야 예전에 김정운 박사의  책에서 읽었던 이야기가 생각났다.

목차가 있다는 것은 목차를 보고 읽고 싶은 부분을 선택하라는 것이라는~

어차피 다 읽을거지만 그래도 흥미로운 부분처럼 읽어나가는 것이 책을 휠씬 더 재밌게 읽을 수 있을뿐더러 부담감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40개의 주제를 읽으면서 지금까지 알고 있던 것과는 전혀 다른 내용도 있었고, 전에 읽었던 뇌과학 책에서 비슷한 부분을 읽은 것들도 있었다.


새로운 경험에 대한 열린 마음은 성공의 지름길이 될까? 이 부분에서 후회에 대한 이야기는 이미 많은 책에서 읽었던 부분과 같았다.

노인들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실패한 일에 대한 후회가 아닌 하지 못한 일에 대한 후회가 많다고 해서 실패한 일에 대한 후회를 말하던 젊은 층들과 차이점을 보였다고 한다.

누군가가 거짓말을 하는지 알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와 거짓말 탐지기에 대한 맹점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누군가의 이야기를 들을 때 상대방의 눈을 보는 것은  실제로는 상대방의 말을 듣고 이해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된다고 한다.


뒷부분에서도 나오지만 인간의 뇌는 멀티태스킹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집중 대상을 신속하게 바꾸어서 두 가지 이상의 일에 집중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코 그렇지가 않으며 멀티태스킹은 일은 더 많이 하고 이루는 것은 더 적어진다고 하니 아무리 할 일이 많아도 하나씩 차근차근하는 것이 효율적인 셈이다.

인간은 평생 자기 뇌의 10%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의 뇌가 가진 잠재력을 비유적으로 말하는 것일뿐 우리는 뇌의 100%를 모두 사용하고 있으니 아쉬워하지 않아도 될 거 같다.


아기 고양이나 강아지를 보는 것은 누구나 행복해지고 미소를 짓게 하는 일이다.

아기들의 귀여운 얼굴이 보호자를 향한 매력 발산이라는 점~ 그들의 큰 눈과 귀여운 얼굴이 보호자로 하여금 자신들을 지켜주게 하기 위한 생존전략이라고 하니 아기 때부터 외모지상주의에 첫발을 디디는 셈이다.

나이가 들어도 기억력이 쇠퇴한다는 설은 잘못된 설이고 오히려 새로운 것이 배우는 것이 더 쉬워진다고 한다.

그 이유는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지식에 새로운 것을 갖다붙이는 것이 새로운 것을 배우는데 가장 좋은 방법인데 나이가 들수록 아는 것도 많으니 당연한 결론인 셈이다.


나이가 드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질병, 뇌졸중, 미세뇌졸증, 뇌손상 같은 것으로 인해 기억력이 나빠지는 것이다.

모차르트 음악에 대한 황당한 설은 나도 역시 많이 들어 왔었다. 모차르트를 들으면 머리가 좋아진다며 태고 음악으로 많이 나왔지만  아쉽게도 결론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외에도 뇌에 대해 평소에 궁금했던 문제들이 많아서 하나하나 그 진의 여부나 왜 그런 이야기가 나온 것인지에 대한 배경 등 다양한 것들을 알 수 있어 재밌게 읽을 수 있었던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