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춤추고 싶다 - 좋은 리듬을 만드는 춤의 과학
장동선.줄리아 크리스텐슨 지음, 염정용 옮김 / arte(아르테)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내용을 읽기도 전에 공동 저자 중 한 명인 "장동선" 이라는 낯익은 저자의 이름에 혹시나~ 하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저자의 프로필을 읽어보나 ㅎㅎ 역시~ 전에 괘 흥미진진하게 읽었던 "뇌 속에 또 다른 뇌가 있다."의 자자이다.

독일에서 태어난 한국계 학자인 장동선 박사는 뇌과학에 있어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도 할 수 있을 거 같다.

처음 이 책의 제목만 보고 처음에는 여기서 말하는 춤이 몸을 움직이는 dance라고는 생각지 않았었다.

뇌의 움직임을 '뇌를 춤추고 싶다' 라고 표현하는 것인가 했었다.


책은 시작하는 부분부터 생각하지도 못했던 것들을 알려준다.

음악의 신이라고만 생각했던 그리스의 신화 속의 아폴론과 파괴의 신이라고만 알고 있던 힌두교의 신 시바가 춤의 신이기도 했다니 신화를 그림 그림들에서 봤던 그들의 이미지를 생각하면 도저히 상상이 되지 않는다.

잠깐 동안이었지만 고대의 춤이 제례의식의 일부였다는 것을 잊고 있었다.

몸을 움직인다고 생각하면 운동을 생각하고 또 운동을 하면 머리 즉 뇌에도 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이젠 너무나 당연한 사실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운동이라는 몸의 움직임보다는 춤을 추는 것이 몸에도 특히 신경계와 뇌 건강에도 더 좋다고 주장한다.

장동선 박사와 이 책의 공동저자이기도 한 줄리아 박사는 어린 시절에 발레를 전공했지만 사고로 더 이상을 발레를 하지 못하게 되고 그 후로 심리학을 공부했다고 한다.

이러한 그녀의 배경이 있었기에 이런 주제를 연구하고 장동선 박사와 함께 더욱 심오한 연구를 하고 이 책의 주요한 내용을 이룬다.

춤을 그저 단순하게 음악에 맞춰 몸을 움직이는 정도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의 내용을 읽어나가보니 춤의 좋은 점이 단순하게 몸을 건강하게 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마도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춤을 추면서 스트레스를 푸는 것일 것이다.

이 책 속에서 이야기해주는 춤의 좋은 점은 한두 가지가 아닐뿐더러 역사 속에서의 춤의 효능과 의학적, 신경학적 부분에서의 춤의 효과에 대해 다양한 방면에서 이야기해주고 있다.

특히 혼자서 추는 춤도 좋지만 누군가에 함께 추는, 또는 여러 사람들과 단체로 춤을 추는 것이 심리학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더더욱 효과가 좋다고 하니 자신에게 맞는 춤을 선택하여 댄스교실 같은 곳에 등록하여 배워보는 것도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뇌와 춤~ 아주 상관이 없다고 하진 않겠지만 그렇게 큰 관계가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는데 춤이 춤으로써 몸의 리듬뿐만 아니라 뇌의 리듬까지도 향상시켜 삶의 전체적인 부분에서 좋은 리듬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니 그저 놀이나 전문적인 사람들만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했던 춤이 이렇게 좋은 효과를 지닌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던 거 같다.

춤을 배운다는 행위만으로도 지금보다 건강해지고, 똑똑해지고, 행복해질 수 있다는 강수진 발레리나의 말을 꼭 체험해보고 싶어진다.

몸치인 나도 춤을 통해 요즘 따라 딸리는 뇌와 몸의 능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과학적, 심리학적 근거까지 알 수 있어 더욱 재밌게 읽을 수 있었던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