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50년 하버드 글쓰기 비법 - SNS부터 보고서까지 이 공식 하나면 끝
송숙희 지음 / 유노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학창시절 글쓰기 아니 글짓기에는 어느 정도 자신이 있어 대학시절 선배나 친구들의 레포터도 몇 편이나 대신 써준 적이 있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잘 쓴다기보다는 그냥 내 강한 성격이 글에 고스란히 드러나고 책을 많이 읽었던 덕분에 그냥 읽을만한 글을 써는 정도였던 거 같다.
그 후로도 지인의 자소서를 대신 써주는 등 몇 편의 글을 써준 적이 있지만 나 스스로가 글쓰기에 재주가 있다는 생각은 크게 해본 적은 없었다.
인터넷 이벤트에 종종 응모하면서 응모글이나 제품 리뷰 정도는 썼지만 그냥 그정도였다.
하지만 거의 6년에 달하는 시간 동안 서평단 활동을 하면서 1000권이 조금 넘는 책의 후기를 써고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글쓰기는 더욱 힘들어지는 거 같았다.
거기다 5년 전부터 블로그를 통해 부모님께서 농사지은 무농약 농산물을 판매하면서 글을 올리기 시작했는데 판매를 목적으로 누군가를 설득하는 글을 쓰는 것은 지금까지의 심심풀이 글쓰기와는 전혀 다른 부담이 느껴졌다.
목적이 있는 글쓰기~ 글을 쓰고 몇 번이나 읽고 고치고를 반복했지만 여전히 부족함이 느껴졌다.
그 많은 책을 읽었고, 그 많은 글을 써봤지만 글쓰기를 한 번도 제대로 공부한 적이 없다는 생각에 미치게 되었고 지금까지 글쓰기에 관련된 몇몇 책을 읽으며 조금씩 배우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글쓰기는 쉽지가 않다.
150년 역사를 지닌 세계 최고의 대학인 하버드에서 학생들에게 4년 내내 글쓰기를 가르친다고? 처음엔 조금 의아했다.
하지만 글쓰기라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 된 지금은 우리나라의 대학들도 4년간 글쓰기 하나라도 제대로 배울 수 있게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단순하게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것이 전부가 아닌 글로써 누군가에게 핵심을 빠르게 전달하여 행동하도록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것이 나날이 중요해지고 그 자체가 생업의 소재가 되는 것이다.
같은 제품이라도 어떻게 어떤 글로 설명하는가에 따라 판매량이 달라지고, 누군가가 자신의 아이디어에 큰돈을 투자하게 할 수도 있으며 학교에서는 좋은 점수를 받고, 직장에서는 유능한 직장인으로 승진을 위해서 꼭 필요한 능력이 되었다.
이 책의 작가가 알려주는 오레오맵은 글쓰기의 기본적인 법칙 같은 것인 셈이다.
어쩌면 저자가 말하는 오레오멥은 글쓰기의 가장 기본적인 부분으로 기본틀이라고해도 이상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이 기본적인 법칙을 기키면서 글을 쓰는 것이 쉽지만은 않은 일이라는 것이다.
오레오맵은 'OpinIon 의견 , Reason 이유, Example 사례, Opinion/Offer 의견 강조 및 제안"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유와 근거가 의견에 직결되고 구체적이어야 논리가 튼튼하게 구성된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처음은 오레오맵에 각각을 내용을 한 줄씩 쓰고, 그 핵심 주제를 두고 세부내용을 보태며 각각의 논리적은 단락을 만들고, 이 네 개의 단락을 매끄럽게 연결할 수 있다면 글의 완성이라고 하니 글쓰기를 할 때 미리 오레오맵부터 작성해야 할 거 같다.
논리를 완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는 ' what, why, how" 의 이 세 가지가 반드시 들어가야 하며 또한 Target, Idea, Value Proposition 또한 글쓰기에 꼭 잊지 말아야할 중요한 포인트이다.
자료를 나열할 때에도 일일이 나열하지 말고 유형이나 속성별로 묶고 그 묶음은 3가지 이내로 하는 것을 주의한다.
지금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설교하지 말고, 설명하지 말고, 팁을 주세요~" 하는 부분이었다.
글을 읽는 독자에게 '티퍼 tupper 도움말 주는 사람' 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거 같았다.
이 책에서 여러가지 중요한 글쓰기 방법이 나오지만 기본적인 것들과 지금 자신이 써야하는 글의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글에 맞는 방법을 적용하여 꾸준히 연습하는 것만이 자신이 원하는 글을 쓸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일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