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슬, 멈추지 않는 추진력의 비밀
닐 파텔.패트릭 블라스코비츠.조나스 코플러 지음, 유정식 옮김 / 21세기북스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년 전이었나 '그릿"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괘 신선한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난다

이 책에서 저자도 잠시 그릿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 부분을 읽으면서 그때 생각이 잠시 났다.

처음 프롤로그를 읽으면서 저자의 강연에 반대를 표하는 여성의 발언에 누구나 고개를 끄덕여질 거라고 생각이 되었다

대한민국에서 흔히 말하는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사람들과의 차이는 어쩔 수가 없으니까~~


처음에는 그저 유연한 사고를 말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허슬은 그저 요행을 바라는 것이 아님을 책을 읽을수록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거 같다

허슬을 실행하기 위해선 많은 준비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었다

그 시작은 '개인적 기회 포토폴리오(POP)'  라는 이름도 낯선 것을 개발해야 한다고 하고 우리가 알게 모르게 인생의 전반에 걸쳐서 POP를 이루는 여러 개의 부품들을 조립해오고 있다는 것이었다


POP의 핵심 카테고리는 잠재력, 사람, 프로젝트, 증거,이며 POP를 유연하게 변화시키며 개발하는 것이 성공으로 가는 길이라고 한다

파산신청에서 학자금 대출은 파산신청에서도 안된다고하니 의외였다

다이어트를 예로 든 '실패회피"에 대한 설명도 신선했다

너무 당연한 것인데도 생각지 못한 선택에 대한 결과를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훈련은 완벽을 이끌어내지 못해, 완벽한 훈련이 완벽을 만들지." 은 성공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진리에 감춰진 얼굴을 보여주는 거 같았다


이중 언어를 사용할 줄 아는 것이 생활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뇌졸중에서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고하니 지금 하고 있는 외국어 공부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할 거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행운은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발굴하는 것이다."  행운을 대하는 생각 자체를 바꾸어 주는 말이었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관찰력과 어딘가에 고정되지 않은 유연한 사고가 허슬이고 그 허슬이 인생에서 행운을 발견하게 해줄지도 모른다.

"이 나이에 무슨~"  현재 나이에 상관없이 자신이 성장을 마쳤고, 변화를 끝냈다고 착각하는 것을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자 댄 길버트는 "역사 착각의 끝" 이라고 명명했다고 한다.

      

각각의 발걸음이 당시엔 어디인지 알아차리지 못하지만, 발걸음을 밟아나가는 행동을 하지 않았더라면 존재하지 않았을 기회와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것은 행동하는 것이 그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을 생각하게 한다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하는 방법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사회적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것인 거 같다

농구에서 백보드를 이용한 뱅크슛에 대한 부분 역시 사회적 관습이 아닌 가장 효율적인 결과를 위한 방법이라는 점에 착안하는 거 같다

자수성가한 억만장자 존 폴 디조리아의 좌우명이라고 하는 "공유하지 않는 성공은 실패다" 라는 문구는 성공한 자산가가 지닐 가장 궁극적인 자세가 아닐까 생각된다


10분 법칙~ 10분 동안 하고, 그다음에 판단하다

항상 무슨 일을 시작할 때 준비가 되어야만 시작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스스로의 안일함을 반성하게 만드는 문구다

이 말은 세네카의 '어렵기 때문에 감히 시도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감히 시도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렵기 때문이다."와 의미를 같이 하는 거 같다.

이분법적 사고에서 그 두 선택지에 대해 저자는  "모두 옳지 않다" 라고 말한다

목적을 달성하는데 그 두 가지만이 아닌 세 번째, 네 번째 혹은 그 이상의 선택지가 있음을 우리는 쉽게 간과하는 거 같다.


사람들과의 대화중에 "제가 도울 수 있는 게 있을까요?" 혹은 '어떻게 도올 수 있을까요?"라고 질문할 기회를 찾으란 저자의 조언은 타인을 대하는 태도에서 중요한 것을 생각하게 했다.

"주고 받으라" 먼저 받으려고 하지 말고 원하는 것이 있다면 먼저 주어야 한다는 기본적인 것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준다.

간접적이고 보잘 것 없고 혼란스럽더라도 올바른 경로를 찾는 방법은 항상 자신의 경험을 통해서라는 것을 조나스의 경험을 통해 공감할 수 있었던 거 같다


허슬을 통해 이익을 끌어내는 유일한 방법은 스스로 무언가를 실질적으로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명심해야 한다.  

"당신이 하는 일이 무엇이든 "이유"에 너무 절절매지 마라.

​마지막까지 저자는 아니 저자들은 실행한다는 것에 의미를 두라고 지금은 보잘 것 없고 아무 보상도 없어 보이지만 그 작은 나의 발자국들이 언젠가 나에게 행운과 행복을 가져다줄지도 모를 밑거름이 될 거라 독려해주는 거 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