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미학사의 거장들 - 감성과 예술을 향한 사유의 시선
하선규 지음 / 현암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 미학사하면 기억 속에서 읽다가 포기했었던 책 한 권이 떠오른다

10여년도 더 전에 우연히 작은 시골 도서관에서 발견했던 헤겔의 미학사~ 괘 두꺼운 세 권의 책이었는데 아마 1권을 반정도 읽다가 포기했던 걸로 기억난다

르네상스 시대를 기본으로 하는 미술에 대한 책들을 읽다보니 좀 더 공부하고 싶어졌고 그다음에는 미술사에 대한 책을 읽었다

미술사에 대한 괘 많은 책들을 읽었고 다시 미학사로 돌아와 기초적인 책도 몇 권인가 읽었다


하지만 여전히 미학사는 어렵고 이 책을 다 읽은 지금도 이해는 어느정도 한 것인지 스스로도 궁금하다

미학사라고 하면 미술 즉 예술과 관련이 있을 거 같지만 미학사는 미술에 극한되지 않는 "미 美"를 포함한 모든 것들에 대한 정의라고 하는 것이 맞는 표현일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포함되는 "미"라는 것이 일반인들이 전혀 생각지도 못하는 것들도 포함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 등장하는 미학사의 거장들은 철학책들을 괘 읽은 사람이라면 한 번 이상은 들어보거나 저서를 접해본 철학의 거장들이 대부분이다.


미적 체험과 예술을 체험하고자 하는 욕구는 일상생활의 고루함과 편협함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탁월한 시인과 예술가들이 모두 뛰어난 현상학자이기도 하다는 이야기에 의아하기도 했지만 생각해보니 그런 거 같기도 하다

흔히 이런 사람들을 현실에서 벗어난 삶을 사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생각해보면 그들이 그런 작품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자신들이 본 현실을 엄청난 집중력을 가지고 관찰해서 자신들만의 표현방식으로 나타낸 것이 이들이 현상학자 그것도 뛰어난 현상학자라는 적확한 표현일 것이다.


미학사 책에서 플라톤이나 칸트의 이름을 발견하리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었다

생각해보면 플라톤은 스승 소크라테스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와 달리 부유한 귀족 출신이었으니 삶과는 조금 동떨어진 예술에 대해 사색을 즐길 수 있는 여유가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플라톤이 체계적인 이론이나 저서를 남기지 않았다고해서 조금은 의외였다

"반쪽 인간의 신화" 에 대한 플라톤의 이야기는 대단히 흥미로워서 관련 서적을 더 찾아서 읽어봐야 할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역사는 객관적이고 생각하기 쉽지만 역사가가 자신이 "사관"에 입각하여 재구성한 이야기임을 잊지말아야 한다

세계사를 보면 중세를 암흑의 시대로 표현하고 있지만 그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은 자신들이 "중세"에 살았다는 것도 생각한 적이 없으며 이는 반짝반짝 빛나는 르네상스 시대의 사람들도 자신들의 시대 후세에 "르세상스"라 불리며 많은 관련 연구들이 나올 줄 상상도 못했을 것이다

그들이 그저 자신들의 시대를 묵묵히 살아간 것이다 지금의 우리처럼~

문득 지금 이 시대를 500년 후, 1000년 후 사람들은 어떤 이름을 붙여서 부를까 궁금해진다


르네상스 시대의 건축가 중 한 명으로만 생각했던 알베르티는 르네상스적 통합적 지성들의 모범을 실천한 인물이라고 하니 그동안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다른 천재들에 비해 그다지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그에 대해서도 이번 기회에 다시 알 수 있었다

지금 우리가 휴대폰 하나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찍는 사진이 근대의 미학사에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지도 알 수 있었다

이미지의 쉽게 얻을 수 있고 무한으로 복제하며, 언제 어디라도 보낼 수 있는 사진으로 인해 대중 매체들의 형식과 내용이 혁신적으로 변화하는데 이바지했고 그 변화는 여전히 진화 중이다


칸트의 '판단력 비판'이라는 책에서 미학적인 측면에서 획기적인 논의들을 제기했다고 한다

또한 이 책은 내가 예전에 포기했었던 미학 분야의 거장인 헤겔의 '예술철학"이라는 저서와 함께 서양 미학의 교과서로 불리고 있다고하니 기회가 된다고 꼭 찾아서 읽어보고 싶다

칸트의 '무관심성" 개념과 주체와 대상의 존재 자체로부터의 거리라는 '심미적 거리'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이 책에서 헤겔의 등장은 아주 오래전에 헤어진 친구를 만나는 것과 같은 그리움 같은 느낌이 들었다


헤겔하면 바로 떠오르는 "정반합"이지만 헤겔은 정작 이런 표현을 쓰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헤겔의 꽃이나 풍경의 아름다움 같은 자연미는 미학의 대상에서 제외시켰다고 한다

그 이유는 자연미는 '인간의 자유로운 영혼의 흔적'을 담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다고하니 왠지 그의 사진에서 보여지는 냉철함이 더욱 돋보이는 거 같다

헤겔 부분을 읽으면서 왠지 모르게 그때 끝내지 못했던 것을 이제야 끝낸 듯한 묘한 기쁨도 있었다


"이미지"가 라틴어 'imago'에서 나온 말이고 그 의미가 밀랍으로 만든 죽은 사람의 얼굴 즉 흔히 말하는 데스마스크에서 나왔다고 하니 조금 으스스하다

칸트와 함께 철학사에서 빠지지 않는 스타 니체의 등장 또한 반갑다

니체를 주관적인 사상가이며 철두철미하게 자신에 대해 사유하고, 자신을 위해서 글을 썼으며 그가 출발하고 도착한 곳은 언제나 자기 자신이었다는 정리에 문득 지금까지 읽었던 그의 저서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한동안 시대의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되던 "포스트모던"이라는 말이 '리오타르'에 의해 탄생한 말이며 그 등장 배경의 어수선한 시대적 배경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물른 그가 의미한 포스트모던과 시대가 요구하고 또 이룬 포스트모던은 전혀 상관이 없는 다른 의미지만 말이다

하이데거가 나치 지지자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 투철함에는 조금 찝찝한 생각도 들었다

"미학"은 여전히 소원해 보이지만 이 책에서 어느정도 거장들의 미학을 맛보기로 알았으니 다음에 미학에 대한 책을 본다면 적어도 낯설지는 않을 거 같아 지금보다는 조금은 편하고 수월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거 같다


 

[이 글은 해당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