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일어서는 용기 - 거침없이 살기 위한 아들러의 인생수업
알프레드 아들러 지음, 유진상 옮김 / 스타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들러의 책은 항상 읽을 수록 새롭다.

인류애, 사회 구성원으로써의 삶 등, 개인의 입장에서 어찌보면 지극히 추상적인 설명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불행도 우리가 느끼는 행복도 다 이런 관계를 빼놓고 설명을 할 수가 없기에 인류가 태어나자마자 접하는 것에 대해서는 보다 자세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것 같다.

책의 제목에서 볼 수 있는 다시 일어서는 용기를 주는것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자면, 나의 불행이 어디서 오는 것이고 나의 상황이 무엇때문에 오는것인지를 확인 해야한다.

아들러가 말했듯 나의 어릴적 기억이 내 삶의 전반적인 생각과 사고로 연결 되면서 수많은 생각들이 나를 가로막고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도록 저지 하는지 살펴 봐야 한다. 특히나 유년시절의 나를, 나의 최초의 기억을 잔잔히 떠올리며 왜 그 기억이 하필 나의 뇌리에 박혀 잊혀지지가 않는지, 혹시 내가 나를 잘 모르고 잘 못본 부분이 있는지 다시한번 돌아보게 된다.

이 책을 통해서 나는 다시 한번 나를 보게 되었다. 자신을 망각한채 누구의 탓으로 돌리기 전에 나자신을 보고 나의 행동과 모습을 관찰해보면 정말 놀랍기도 하고 당혹스러울때가 있었다.

아들러는 그 누구보다 협력, 협동하는 방법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것은 인간관계의 시작이자 사회 구성원으로써 그 무언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창조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며 내가 가는 방향이 올바른 방향인지도 함께 점검이 가능하다. 개개인의 심리학 치료도 필요하지만, 그는 집단의 치료를 통해서 심리개선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우리가 우울한 이유,

어쩌면 누군가에게 말하고 누군가에게 상담하고 조언을 듣고 그러한 사회 구성원으로써의 역활만 충분히 하여도 나의 우울감은 감쪽같이 사라지리라, 우리가 우울한 이유는 혼자 생각하고 혼자 결정하고 세상에 나혼자 밖에 없다고 느낄때 찾아오는것 같다. 어떤 것을 하고 느끼고 배우는 것에 스스로의 즐거움 보다 아들러가 말하는 단체로써의 즐거움을 찾을때 우리는 더욱 발전하고 나홀로 느끼는 우울감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특히나 아들러는 다른 심리학자들과 다르게 유전학적 심리상태의 영향을 대부분 부인 하였다. 즉 사람의 심리는 유전적으로 얻어지는 성향보다는 경험을 바탕으로 완성되어지는 부분이 더 크다고 설명한다. 이말은 우리가 바꾸고자 노력한다면 얼마든지 개선 가능하다는 뜻이 된다.

내안의 나를 잘 알고, 나에게 찾아오는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한번 일어 설 수 있는 나로 거듭나는 활용서로 정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솔직한 리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