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역 아리스토텔레스의 말 - 현대인들의 삶에 시금석이 될 진실을 탐하다
이채윤 엮음 / 읽고싶은책 / 2021년 2월
평점 :
부제 : 현대인들의 삶에 시금석이 될 진실을 탐하다.
책을 받기 전, 아리스토텔레스의 책을 읽는다는 것에 굉장히 기대감에 부풀어 있었어요,
저에겐 항상 철학과 심리학에 대한 목마름이 있었던 듯합니다.
사실 이전에 읽었던 아리스토텔레스나 소크라테스, 플라톤과 같은 책들은 대부분 번역에 실망을 하거나, 무슨 말인지 이해가 잘 안 가거나 해서 하나같이 만족도가 떨어졌었죠.
이 책은 그간 철학 책에서 보아왔던 책과 조금 다릅니다.
고대 철학자들은 대부분 책을 저서로 남기지 않았기에, 제자들이 그들과 나눈 대화를 받아 적는 식으로 책들을 많이 구성하였지만 이 책은 다른 외국 저서의 번역 본이 아닌 이채윤님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말을 엮어서 풀이한 책에 가까운듯합니다.
철학을 조금 어려워하거나 철학에 기본부터 접근하고자 한다 하면 이 책을 추천하고 싶어요.
번역서를 보다 보면 번역 과정에서 거치는 오류로 인해 원서를 읽을 때 보다 더 이해가 안 가는 말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 책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문구 자체를 잘 풀어서 설명하여 놓았기에 더 접근이 쉽고 이해가 빨라 읽는데 그렇게 많은 시간이 들지는 않았던 듯하네요.
그러다 보니 오히려 사색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서 좋았습니다.
하루 한 문장, 또는 하루 한 챕터씩 읽어보고 책을 덮고 내용에 대해 곱씹으며 생각해 보고, 또 비판해보고, 다른 사례들을 대입해보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철학 한다"라고 설명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한 맥락에서 이 책은 페이지 페이지 단위로 되어있어서 끊어 읽기 좋습니다.
더군다나 이 책은 다방면에서 여러 가지 주제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 그가 생각한 인생관, 교우관계, 진정한 인간관계, 국가, 정치, 사회, 인간의 본성, 교육, 예술 분야까지 두루두루 생각 해 볼 수 있어요.
짧고 임펙트 있는 강렬한 문구 하나가 주절주절 공간만 채워 놓은 장황한 글보다는 활씬 났다고 생각하기에 이 책이 더욱 마음에 드는듯합니다.
가장 많이 생각하고 생각했던 부분은 바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개인의 행복에 관해서입니다.
어떤 사람이 행복한 사람인가?
나는 행복해지려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아리스토텔레스가 조언했던 행복의 조건과, 제가 생각했던 행복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적어보자면,
1. 행복을 방해하거나 파괴하거나 반대되는 결과를 낳는 일을 해서는 안 된다.
2. 목표의식을 가지고, 분별력을 가지며, 지혜를 가지면 행복을 꿈꾸는 일은 충분히 가능하다
3. 행복과 행운은 전혀 다름으로 동일시하면 안 된다.
4. 행복은 활동하며 생겨나는 것임으로 그런 친구를 곁에 둘 수도 있고, 나의 활동으로 그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5. 행복한 사람이란 능력이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이다.
6. 자기 자신과 더불어 사는 것, 그것이 최고의 행복이며 최고 선이다.
고대 사람들은 어떻게 이렇게 객관적으로 인간이라는 존재를 바라볼 수 있었는지 그저 신기하기만 합니다.
바쁜 일상에서 책을 읽고 감상할 틈조차 없는 요즘, 그나마 나의 머리에 생각할 거리를 주고 일부로라도 사색할 시간을 주어서인지 마음의 안정과 평안을 많이 얻은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