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구스타프 융 - 영혼을 파고드는 무의식 세계와 페르소나 탐구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심리학 3대 거장
칼 구스타프 융.캘빈 S. 홀 지음, 이현성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칼 구스타프 융은 기존 프로이트와는 많이 다른 모습을 보인다.

아들러와 함께 끝에는 프로이트 파를 나와서 자신만의 이론을 펼쳤지만 그 기본 근간은 함께 하고 있다.

칼 융은 아들러와는 다른 면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칼 융은 앞서 두 사람보다는 보다 인간적이고 많은 이론을 수용할 자세에 있는 사람이었다.

그가 환자를 돌봄에 있어서 어느 이론을 막론하고 여러 가지를 대입해보고 수용하고, 그저 환자의 치료에만 매진을 했던 것을 보면, 자신의 이론이나 명성보다는 확실히 환자를 위한 연구를 하고 고뇌를 했던 걸로 보인다.

칼 구스타프 융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바로 "페르소나"의 개념과 역할이다.

인간의 쓰고 있는 외면적 마스크의 개념인 페르소나는 내가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개념이다.

칼 융은 이 페르소나가 발달한 이와 발달하지 않은 이를 구분 지어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이론적으로 설명한다.

다른 한 가지 인상 깊었던 부분은 인격의 변화기에 중년기를 포함 시킨 것이다

보통 인격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아동기, 청소년/성인기, 노년기로 구분하지만, 칼 융은 이에 중년기도 포함 시켰다. 그러면서 중년기에 오는 무력감과 실제로 자신을 찾은 환자들 중 2/3가 중년임을 감안하면 중년기에 어떠한 변화가 있다는 것을 확신하며 우리는 중년에도 의식의 흐름, 에너지의 방향이 어딘가 해소를 못해 멈춰있지 않도록 새로운 물고를 트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심리 치료법의 첫 번째 목적은 환자에게 보장이 없는 행복한 상태를 주는 것이 아니라 고난이 닥쳐도 흔들리지 않는 이성적 인내를 갖도록 돕는 데에 있다.

칼 구스타프 융 p178

이 밖에 칼 융은 평행이론 설도 주장한다. ( 이점은 프로이트에 영향을 많이 받은듯하다 )

슬픔이 있어야 기쁨이 있고, 불행이 있어야 행복이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이 세 가지 책을 동시에 읽음에 좋은 점은 심리학이 꽃 피던 그 시대의 최고의 거장들을 동시에 읽으며 비교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사실 각각의 이론들을 보면 서로 같으면서도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

일단 프로이트가 아들러나 융에게 크나큰 영향력을 심어준 것은 사실인듯하다. 그리고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을 바탕으로 아들러와 융도 같은 방식으로 분석을 하였고 심리 치료를 병행하였다.

하지만 이 세 사람의 차이점은 분명히 있다.

각각의 개성이 있고 주장하는 바와 가치관도 다르다.

이 책을 따로따로 한 권씩 읽었다면, 한쪽의 여운이 다 가시고 일부는 잊어버린 상태에서 다른 심리학자 책을 읽는 것이므로 전혀 두 이론이 일치하지 않다고 생각했을 법도 하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 받아 읽고 작성한 솔찍한 리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