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던지는 위험 - 예측 불가능한 소셜 리스크에 맞서는 생존 무기
콘돌리자 라이스.에이미 제가트 지음, 김용남 옮김 / 21세기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치 과잉의 시대!!
오늘날을 일컫는 말이다. IT의 발달로 정보가 쉽게 유통되고 전파되면서 과거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쉽게 정치에 참여하고 있다. 대중은 정치뿐만이 아니라 경제, 문화, 사회 전반에 대해 여론을 형성해 간다. 우리는 이제야 알권리와 의사 표현에 대한 권리를 충분히 누리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정치인과 비즈니스 리더들은 대중의 많은 참여가 위험이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제목만 봐도 그렇다. 대중의 오해로 인한 여론의 역풍에서 살아남기라던가 미래의 지도자를 양성하는 스탠퍼드 MBA 비밀강의라는 것을 보면 사회 지도자들이 현 시대의 상황을 얼마나 위협으로 느끼는지 알 수 있다. 


이 책에는 한때 잘나가던 씨월드라는 테마파크가 동물보호단체, 다큐멘터리 영화, 대중의 집단 소송 등으로 몰락 것을 예로 들면서 이제 스마트폰만 있으면 누구든 쉽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따라서 예전보다 위험이 더 가까이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잘나가는 기업들은 사내 CIA 조직을 구성하는데 소비재 제조업체부터, 로펌, 첨단 기술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회사들이 이런 조직을 통해 이미 주요 국가의 정치적 변화를 주시하고 물리적, 경제적 평판 리스크를 분석하고 있다고 말한다. 


책에서는 정치적 위험의 유형을 10가지로 분류했는데 그 중 눈에 띄는 것은 과거에는 없었을 사회운동, 사이버 공격등이다. 정치적 위험의 중요성을 알지만 미리 관리하기 어려운 이유는 보상, 파악, 측정, 업데이트, 소통의 어려움 때문이라고 이야기 한다. 위험을 미리 대비 했다고하지만 아직 발생하지 않은 일을 해결했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위험 대비를 위한 투자를 쓸모가 있다고 할지 없다고 할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또한 정치적 위험들은 부정부패, 체제 안정성 등을 조사해야 하는데 이는 숫자로 표현하기가 어려워 파악과 측정이 어렵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에도 위험을 관리하는 조직만이 살아남을 것이고 이를 위해 위험을 이해하고 분석하고 완화하고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러면서 미리 시나리오를 짜고 위험을 대응해 나가는 기업들의 예를 보여준다. 


현 시대의 변화하는 비즈니스 상황을 보여주며 위기 예방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책. 조직의 리더들이 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