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들여진, 길들여지지 않은 - 무시하기엔 너무 친근하고 함께하기엔 너무 야생적인 동물들의 사생활
사이 몽고메리.엘리자베스 M. 토마스 지음, 김문주 옮김 / 홍익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사이 몽고메리와 엘리자베스가 함께 지은 책이다. 둘은 모두 동물을 너무 사랑하는 사람들로 자리에 앉아 같이 이야기를 하자마자 통했다고 한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보스턴 글로브>에 공동으로 연재한 칼럼을 각색한 것이다. 


책에는 우리의 흔한 반려동물인 개와 고양이부터 그 외 문어, 뱀, 닭, 호랑이, 흰담비, 들쥐, 바위너구리, 호박벌, 민달팽이 등 다양한 야생동물에 관한 일화가 기록되어 있다. 파브르의 곤충기같은 오래도록 관찰한 기록은 아니고 동물들과의 짧은 에피소드와 그 속에서 느꼈던 감정들이 담겨있다. 읽는 내내 동물을 단순한 동물이 아닌 사람과의 친구로 느끼며 배려하고 존중하는 모습이 보인다. 왜 인간이 '사랑'이라고 하는 것을 동물들에게는 그저 '짝짓기'라고 하는지, 아기를 낳은 여성을 '그녀'라고 하면서 강아지를 낳은 개는 왜 '그것'이라고 부르는지 의문을 갖는다. 



"인간은 생각하고 사랑하고 느끼는 지구상의 유일한 생명체인가요?"_11



그녀들은 인간이 인식을 발전시켜온 유일한 포유 동물이라고 여기는 것은 우리의 오만이자 착각이라고 말한다. 또한 인간만이 사랑, 공감, 도덕성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도 틀렸다고 한다. 그러면서 동물들도 사랑을 하고 있고, 동료와 소통과 협업을 하고, 의사 소통을 하는 것을 일화를 통해 보여준다. 그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단순하기만 한 존재가 아니었다. 호박벌들은 학습을 할 수 있다는 걸 증명했고, 우리와 같은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의 영향을 받는다. 개와 고양이처럼 인간과의 교류가 많지 않은 동물들에 대한 연구는 힘들지만, 그들은 인간이 보고 느끼는 것을 같이 느끼고 있는 것이다. 


인간이 필요에 의해 길들이거나, 또는 길들여지지 않은 동물들. 인간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지구상에 존재했고, 또 어쩌면 더 오랜 시간 살아갈 동물들. 인간은 그런 동물들 가운데 하나일 뿐이고, 지구라는 세상에 그들과 함께 살아가는 존재이므로 그들을 더 이해하고 공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