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가 대체 뭔가요?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하고 간결한 자본주의 설명서
조너선 포티스 지음, 최이현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자본주의에 심화있게 얘기하거나 향후 자본주의의 모습을 예측하려는 책이 아니다. 다만 경제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 또는 알고 있더라도 정확한 개념정리가 덜 된 사람에게 자본주의에 관련된 여러가지 용어에 대해 정의와 의의, 그리고 배경 지식등을 정리해주는 책이다.

소제목으로 기본 개념, 자본주의의 여러 제도, 금융과 금융시장,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자본주의의 미래 이렇게 나뉘어 있고 각각에 자본, 화폐, 기업가, 주식 시장, 민주주의, 실업, 경기 침체 등의 총 50가지 용어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각각의 용어로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은 타임라인이 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중요 이슈들이 나와 있다. 그리고 용어의 정의와 생각할 주제에 대한 의견, 마지막에 summary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용어가 3~5장 정도의 짧은 챕터로 되어 있어 간략하게 핵심만 파악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빠르게 각 용어를 익힐 수 있고 머리 아픈 복잡한 이론이 없어서 초심자에게 좋을 것 같다. 물론 심화된 학습이 필요하다면 추가로 관련 서적을 구해서 읽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자본주의의 정의를 보면, 자본주의는 하나의 개념으로 정의하기는 어렵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자본주의를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중국의 경우 경제의 많은 부분이 아직도 국가 소유이다. 아니면 다르게 자본주의를 자원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력, 즉 과세와 공공지출 권한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정의를 한다면, 여기에도 반론이 있다. 20세기 거의 모든 선진국에서 정부 지출이 총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전반적으로 크게 증가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 비율은 지난 20년간 일정하게 유지되었을 뿐 줄어들지 않았다. 더구나 국가가 발전할 수록 대체로 정부의 규모와 역할은 커진다고 말한다. 이렇게 자본주의는 다양하게 정의되어 있지만 핵심 개념은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라고 정의한다.

이 책은 모호한 개념들을 정리하며 자본주의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세계경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므로 한번씩 들춰보며 개념을 다지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