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칸트인가 - 인류 정신사를 완전히 뒤바꾼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서가명강 시리즈 5
김상환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서울대에 가지 않아도 들을수 있는 명강의라는 의미의 서가명강 다섯번째 책이다. 저자는 서울대 철학과 교수로 특이한 것은 데카르트의 코기토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는데 칸트에 대한 책을 작성한 것이다. 이유가 무엇일까? 저자는 이렇게 설명한다. 칸트 이전의 모든 철학은 칸트라는 큰 호수로 들어오고, 칸트 이후의 모든 철학은 칸트에서 시작된 물줄기이다라고. 즉, 과거의 서양 사상이 칸트를 중심으로 모두 모였다가 다시 칸트에서부터 여러 갈래로 뻗어나간다는 것이다. 그가 전공한 데카르트는 자연 현상이 모두 기계론적 법칙을 따른다는 것인데, 칸트는 그것에서 좀 더 발전시킨 이론을 말하고 있으니, 칸트의 철학을 호수에 비유하는 것이 맞는것 같기도 하다. 


이 책에는 칸트의 순수이성비판부터 실천이성비판, 그리고 판단력비판에 대해 서술되어 있다.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는 주체와 대상의 관계를 전도시켰다. 칸트 이전에는 인식의 출발점에 대상이 있고 주체는 그 대상을 수동적으로 비추는 거울로 간주되어 왔으나, 칸트는 인식을 주체의 능동적 종합의 산물로 보았다. 인식의 중심에는 대상이 아니라 주체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라고 했는데 코페르니쿠스가 기존의 태양이 지구를 돈다는 이론을 바꾸어 지구가 태양을 돈다는 것을 설명한 것처럼 칸트는 주체와 대상의 위치를 바꾸어 설명한 것이다. 이는 오늘날의 인공지능이 설정하는 인지 모델과 매우 흡사하다.


두번째는 실천이성비판이다. 여기서는 '덕' 윤리를 '의무'의 윤리로 전도시킨다. 덕 윤리의 중심에는 선의 개념이 있고 그 둘레를 도덕법칙이 회전한다. 이는 종교와 유사한 고대의 윤리인 것이다. 하지만 현대 의무의 윤리에서는 도덕법칙(법)이 중심을 차지하고 둘레를 선이 회전한다. 이는 법적 추론과 유사해 지는 것이다. 이도 역시 칸트에 의해 코페르니쿠스적 전회가 일어난 것이다. 


세번째는 판단력비판인데 이는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눈다. 전반부에서는 심미적 판단에 대해 다룬다. 칸트 이전에는 규정적 판단으로 이론적 판단(사실)과 실천적 판단은 보편자(개념, 법칙)을 중심에 놓고 대상이나 행위를 규정하지만, 이와는 다른 것들이 있는데 칸트는 이를 반성적 판단이라고 해서 우연한 사실로부터 새로운 보편자로 나아가는 판단을 말한다. 다시 말해 사실을 중심으로 개념이 발생하는 것이다. 


네번째 판단력비판의 후반부는 전반부와 유사한데 목적론적 판단을 다룬다. 전반부와 마찬가지로 사실을 중심으로 개념이 발생하는 것은 동일하고, 전반부가 주관 내부와 관계가 있는 주관적 합목적성을 원리로 한다면 후반부는 살아 있는 유기체에 대한 것으로 객관적 합목적성을 원리로 한다. 다시 말해 칸트 이전 과학혁명시대의 기계론적 사고관을 뒤집어 고대의 자연관인 유기체적 자연관을 정당화한것이다. 칸트의 이런 판단은 근대 과학에 의해 증발해 버린 가치의 차원을 복구하는 것으로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처음 접하는 철학서라 내용이 상당히 어려웠지만 칸트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으로, 칸트가 왜 서양 사상사에 중요한 위치에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