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쓴 것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21년 6월
평점 :

우리가 쓴 것
조남주 소설집
조남주 작가를 처음 접한 건 82년생 김지영이었다... 이 작품은 사회에 센세이션을 일으켜서 너무나도 궁금했기에 읽었다....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공감하지 못했고 그때 이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하지만 생각해 보니 나는 내가 아닌 일에는 무심했고 그걸 당연히 받아들였던 주의라는 사실... 그래서 그 작품을 다시 읽어보았다...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고 주위의 가까운 동생부터 지인들을 둘러보며 내 생각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읽으면서 많이 부끄러워진 던 작품 중에 하나였다... 그래서 이번 < 우리가 쓴 것 >작품이 너무나도 궁금하고 읽어보고 싶었다... 이번에는 또 어떤 이야기를 담았고 나를 또 놀라게 할지 설레며 책장을 넘겨본다...
우리가 쓴 것의 작품은 한시대의 이야기가 아닌 10대부터 80대의 다양한 여성들의 삶의 모습을 담았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눈물이 났다... 왜? 이 소설은 특별한 이야기가 아니다... 바로 나, 엄마, 할머니, 조카 등.... 주위에서 누구나 한 번쯤 겪었을 이야기 아니 겪을 수도 있는 이야기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도 모르게 공감하게 되고 그 속에 녹아들어 나인 듯 감정적으로 책을 읽어내려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프다... 하지만 너무 아프지는 않다 왜? 그 속에는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힘 아니 희망 있기 때문이다... 그게 또 조남주 작가의 매력이 아닐까? 공감과 희망이 공존하는....

< 우리가 쓴 것 >의 소설에는 다양한 주인공이 이야기들이 담긴 8편이 실려있다...
그중에 '매화나무 아래'의 이야기는 여든 살의 주인공이 치매에 걸린 언니를 보면서 자신의 삶을 생각하는 이야기이다... 가족을 위해서 자신의 삶을 포기하고 가족을 위해 헌신했 던 큰언니와 암 투병하다가 평온한 죽음을 맞이한 둘째 언니, 그리고 남편과 아들을 먼저 보내고 살아가는 주인공의 삶의 이야기를 요양병원 마당에 쫓겨나고 떠밀리다 아무 데나 발을 붙인 매화나무와 함께 겹쳐진다... 그 이야기를 읽으면서 나는 우리 외할머니가 생각났다... 외할아버지를 일찍 보내고 7남매를 혼자 고생하며 키워냈고 손주들도 봐주시던 하지만 나이가 더 들어가면서 할 수 있는 것은 없어지고 아프기까지 하니 어느새 자신의 위치는 점점 작아졌고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쓸모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셨던 전혀 그런 게 아니었는데 그때 따뜻하게 위로 한마디 해주지 못했던 내가 부끄러워지며 반성된다.. 지금은 이곳에 없지만 그곳에서는 자신의 인생의 주인공이 되어 아프지 않고 살아가셨으면 하고 바라본다... 의미가 있는 삶이란? 무엇일까? 꼭 의미를 따지며 살아야 삶일까? 노인의 삶은 의미가 없는 것일까?라는 생각을 하면 그런 생각을 하며 살아가는 노년의 삶은 참 쓸쓸하며 마음이 아플 것 같다... 그렇지 않기 위해서는 주위의 관심과 사회의 분위기를 바꿔가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우리도 늙는다 그리고 요즘은 100세 시대다!! 그러니 노년의 삶도 의미를 담지 않아도 행복하게 살아간다는 게 좋은 거 아닐까? 노년에도 꽃은 핀다!!
그 외에 <오기> 자신의 이야기를 용기 내어 담아내었지만, 우연히 나눈 대화 속 이야기와 같다는 이유로 악플러들로부터 시달리는 작가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왜 모든 사람은 자신에게 일어난 일은 자신에게만 일어난다고 생각할까? 이건 너무나도 편협한 생각이 아닐까? 생각하면 읽었던 작품이다... 그리고 가출, 미스 김은 알고 있다. 현남 오빠에게, 여자아이는 자라서, 첫사랑 2020이야기가 담겨있다... 그리고 마지막 <오로라의 밤>의 이야기를 통해 엄마를 떠올렸 던 것 같다... 자식들을 위해 무조건 희생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우리들의 무의식을 완전히 확 깨게 해주었던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어렸을 때 우리 집은 아빠는 밖에서 일하고 엄마는 집안일을 하는 존재로 생각하며 살아왔다... 그래서 집안일은 무조건 엄마만 해야 하며 자식들을 위해 희생해야 한다는 그런 고지식한 사고 속으로 엄마를 바라보며 살아왔다... 정작 나는 그렇지 않으면서 말이다.... 그런 나에게 몇 년 전 변화가 찾아왔다... 이건 엄마가 원하는 삶이 아니고 엄마도 어렸을 때 가졌던 꿈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엄마도 엄마이기 전에 여성이었다는 사실... 나와 같다는 생각... 그때 나는 아차!! 생각하며 엄마의 삶에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노래교실과 운동을 시작하게 하면서 엄마에게는 새로운 변화가 찾아왔다... 노래를 배우면서 우울함을 치유하고 지인들과의 만남을 통해 활력을 찾기 시작했다... 행복해하는 엄마의 모습을 보며 잘못된 관습이 아니 가족들이 엄마를 참 옭아매고 있었구나 하고 생각했다... < 오로라의 밤 >의 엄마도 보통 엄마와는 다른 자신의 삶을 위해서 자신이 바라던 늦었지만 버킷리스트를 멋지게 해내는 모습이 너무나도 좋아 보였다... 저 엄마 왜 그래가 아니라 너무 멋지다... 엄마가 아니 한 명의 여성으로서 좋았다... 그래서인지 우리 엄마에게도 그런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다양한 8편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한편의 연결된 드라마를 본 것 같다... 역시나 틀리다고 생각하는 관점을 틀린 것이 아니라 내가 다르게 바라보고 있었던 건 아닌가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을 바로잡아주는 이야기들이었다... 나의 달라진 시각처럼 한 사람 한사람 여성들이 자신의 삶을 깨뜨려 누구의 딸, 아내, 엄마, 할머니가 아니라 당당한 주체적인 자신을 찾고 자신을 위해 살아가기 위해 노력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번 작품에도 여성으로서 많은 것을 생각하며, 주체적인 나를 위해 살아가는 삶을 살도록 노력하며, 또한 엄마의 삶도 인정해 주는 내가 되도록 살아가야겠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