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학이 관우에게 말하다 1 - 의리를 무기로 천하를 제압하다 ㅣ 현대 심리학으로 읽는 《삼국지》 인물 열전
천위안 지음, 유연지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7월
평점 :
심리학이 관우에게 말하다 1편, 천위안 지음, 리드리드출판
"의가 아닌 것은 취하지 않느니만 못하다"
현대 심리학으로 삼국지의 인물들을 재조명하는 심리학이 OO에게 말하다 시리즈 3번째 관우 편이다. 조조, 제갈량에 이어 의리의 사나이 관우에 대한 내용이다. 중국 역사 속 인물 줄에 신으로 숭배받는 인물은 딱 두 사람인데, 공자와 관우라고 한다. 공자는 중국 사상 깊숙히 뿌리 내린 유교의 시조이니 이해가 되었으나 관우는 좀 의아했다. 그런데 중국에서 관우는 재물신으로 여겨진다고 한다. 그래서 일반 가정에서도 관우상을 모셔두고 향을 피우고 복은 빈다고 한다. 심지어 관우신을 모시는 무속인들도 많다고 한다.
내가 알고 있는 관우는 유비,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도원결의(桃園結義)를 한 인물이 다 였다. 관우를 그린 그림을 보면 긴 수염이 인상적인데, 관우는 2척(60cm)이나 되는 길고 아름다운 수염을 가졌고, 키가 9척(2.7m)이 되고 , 82근(약 49 kg)이나 되는 청룡언월도를 휘두르고 적토마(赤兎馬)를 타고 다닌 용맹한 장군으로 묘사된다. 성인여자 몸무게 만한 칼을 들고 다녔다고? 서울에 있는 동묘과 관우를 모시는 사당이라고 한다. 임진왜란 때 파병된 명나라 병사들이 왕궁 근처에 관우에게 제사를 지내는 동관왕묘(東關王廟)를 세워달라고 요청했으며, 줄여서 동묘라 불린다.
주군이었던 유비나 뛰어난 지략가였던 제갈량보다 관우가 후대에까지 추앙받는 영웅이 된 이유가 무엇일까? 중국에는 관계를 중요시 하는 꽌시 문화가 있는데, 충과 의, 의리를 중요시하였던 관우와 맞닿아 있다. 용맹한 장군으로 따지면 여포도 있는데 여포는 천하제일의 무용을 갖추었으나 사리를 쫓아 의부를 죽여 신의가 없고 포악하며 아랫사람의 마음조차 얻지 못한 악당으로 평가되었다고 한다. 반면 관우는 정의롭고, 용맹하며,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충직함, 작은 은혜라도 꼭 갚는 신의, 눈에 보이지 않는 약속이 목숨보다 중요하다며 한 번 맺은 약속은 목숨걸고서라도 지키는 신용까지 갖춘 영웅으로 평가된다. 타인이 나에게 베풀어 준 만큼 나도 같은 방식으로 그에 상응하는 보답을 해야한다는 원칙을 호혜성 원리라고 하는데, 관우는 딱 그런 인물이었다.
나는 포커페이스가 잘 안되는 사람이다. 그래서 얼굴에 드러난 표정 때문에 손해를 보기도 한다. 관우 역시 감정이 말과 표정에 나타나는 동양 위인들 중에 흔하지 않은 인물이다. 이런 관우가 과감하게 자신감을 드러내면 사람들은 그의 말에 쉽게 수긍했다고 한다. 관우의 진정성이 통한 것일까?
관우에게 가장 배우고 싶은 부분은 단호함이다. 관우는 거절은 아주 칼같이 단호하게 했다고 한다. 어차피 거절할 것이라면 질질 끌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한다. 괜한 희망고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말은 쉽지만 단칼에 거절하는 것은 쉽지 않다. 상대가 상처받을까봐 괜히 눈치가 보인다. 저자는 상대에게 틈을 주면 그 틈을 타고 파고 들어 나의 우유부단함을 조정하며, 더 많은 것을 요구하게 된다고 말한다. 그 유명한 문간에 발 들여놓기 기술이 될 수 있다. 알면서도 정말 많이 당했다. 거절은 관우처럼 단호하게 하는 연습을 해야겠다.
이 책을 통해서 내가 잘 몰랐던 관우에 대해 다시 보게 되었다. 길이 막히면 돌아가는 길을 착고, 시야를 흐리게 하는 편견을 철저히 배제하려 했던 관우의 삶의 태도고 본받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