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살리는 논어 한마디 - 거친 물결에 흔들리는 삶을 잡아줄 공자의 명쾌한 해답
판덩 지음, 이서연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를 살리는 논어 한마디


여러 버전의 논어를 참 많이도 읽었다. 해석하는 부분과 강조하는 부분이 약간씩 상이하여 읽을 때마다 다른 느낌이 들긴 하지만 내용은 일맥상통한다. 이 책의 부제는 '거친 물결에 흔들리는 삶을 잡아줄 공자의 명쾌한 해답'이다. 저자의 설명대로 이 책은 공자의 명언으로 인생의 어려운 문제에 해한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늘 한결같은 사람이 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침착하고 주위 환경에도 휘둘리지 않는 평온함을 보인다. 어릴때는 나도 그런 유형의 사람인 줄 알았다. 그런데 20대, 30대가 되니 내가 다혈질이라는 걸 알게 되었고, 40대 후반 50대에 들어서면서 엄청나게 노력을 하고 있지만 순간순간 욱하게 된다. 최근에 직원이 공유해 준 아이디로 퇴사자들이 회사를 평가하는 사이트를 들어가 보았다. 좋게 퇴사하는 경우는 드무니 마상(마음에 상처) 입을 수 있으니 쉼호흡하고 보라고...다행히 우리 회사에 대한 평가는 하나였는데 이건 내가 다니는 회사가 아닌 전혀 다른 회사다. 누가 썼는지 대략 알 거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얼굴이 화끈거렸다. 내친김에 다른 회사 평가들도 보게 되었는데, 히스테리한 이사 라는 단어에 화들짝 놀랐다. 내 얘기도 아닌데 도둑이 제발 거리는 건 왜일까?


나는 어떤 사람일까?

공자가 말하는 어진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어짊은 편안하고 적합하며 쾌적한 상태라고 한다. 불교에서 선은 마음을 한곳에 모아 교요히 생각하는 참선을 말한다. 공자가 말하는 어짊은 현실에 충실하고 활달하며, 생동감이 있고, 힘이 들지 않는다는 점에서 불교의 선()과 비슷한 점이 있다. 노력을 해서 평정심을 찾고 어질게 행동해야하는 것이라 생각했는데, 공자가 제시한 어짊을 추구하면, 억지로 의식하면서 자기 행동을 단속할 필요 없이 편안하고 적합하며 쾌적한 상태가 된다고 한다. 공자가 말하는 어진 사람과 비슷한 유형의 사람이 자존감이 높은 사람이라고 한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외부환경, 주위사람의 평가나 언행에 휘둘리지만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외부 환경 변화에 영향을 덜 받으니,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오르락 내리락하고 굴곡이 심한 바다와 같은 인생에서도 자존감이 높다면 편안함을 유지하며 쾌적하고 즐거운 삶을 살 수 있는 것이리라.


"오직 어진 사람만이 누군가를 꽃으로 여겨 사랑을 심는다"


소인 같은 면모를 갖춘 사람은 섬기기는 어려워도 기쁘게 하기는 쉽다. 이들은 아부하며 적절히 맞춰주면 기뻐하고, 선물 공세하면 흡족해하며 넘어간다. 이런 상사와 동료를 경험한 적이 있어서 웃음이 났다. 하지만 소인을 기쁘게 하기는 쉽지만 이들과 협력하기는 쉽지 않다고 한다. 이들은 문제가 생기면 가장 먼저 배신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소인은 사람을 부릴 때 완전히 갖추기를 바라기 때문에 가혹한 요구를 하기도 하고, 문제가 생기면 모든 책임을 직원에게 전가하려 한다도 한다. 이 부분을 읽으며 머리에 떠 오르는 사람도 있고, 나는 어떤 사람인지 뒤돌아 보게 되었다. 소인배가 아니라 어진 사람이 되어야 진정한 리더로서의 자질을 갖추는 셈이다.


"도를 추구하고 즐거움을 찾는 인생, 행복하지 아니한가?"


도를 추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방향이 올바르게 설정한다면 설령 흔들림이 있더라도 넘어지지 않을 것이고 혹시 넘어지더라도 다시 일어날 회복탄성력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2500년 전에 살았던 공자의 가르침이 아직도 심금을 울리다니 신기하다. 공자처럼 마음 속에서 도를 추구하고 어떤 일을 하든 그 속에서 즐거움을 찾으며, 비록 평생 뜻한바를 이루지 못하더라도 자존감을 지키며 자기 삶에 만족하는 사람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