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빅 윈 - 이룰 것인가, 남길 것인가
신문범 지음 / 클라우드나인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더 빅 윈 The big win, 신문범 지음, 클라우드나인


이 책의 저자인 신문범님은 40년 직장 생활 중 엘지전자에서 30년을 근무하고 사장으로 퇴임하신 분이다. 저자는 사회의 후배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고, 은퇴 이후의 삶을 준비하고, 사후에 자손들에게 남겨할 정신적 유산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인생을 먼저 살아낸 선배로서 후배들에게 조언을 해주고자 하는 마음이 책 전반에서 느껴진다.

직장 생활을 하다보면 충돌이 생기기 마련이다. 저자는 충돌이 생기는 이유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했다. 천편일률적으로 모두 똑 같다면 무슨 재미가 있을까? 충돌 과정에서 서로가 다름을 깨닫고 함게 살기 위한 상생을 모색하고,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면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신이 아닌 이상 우리 인간은 불완전하고, 완벽하지 못한 존재이다. 완벽이 없다는 것을 달리 표현하면 비효율이 상존하니, 내가 어디에서 어떤 일을 하든지 공동의 번영에 방해가 되는 비효율을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의 말처럼 다르기 때문에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나와 다르기에 축복해주고, 축복 받아야 하며, 존중하고 존중 받아야 하고, 협력하고 상생해야한다는 저자의 말에 동의 한다.


Give and take가 아니라 Give and Forget이라고 하면서, 신뢰를 받는 사람은 신뢰할 줄 안다고 강조하고 있다. 나의 사회 초년생일 때를 되돌아 보니, 저자가 말한 것처럼 나를 믿고 기다려주는 상사, 우리는 할 수 있다는 독려의 말이 도움이 많이 되었다. 나를 믿고 기다려 주었고, 내가 성장할 수 있도록 계속 지지해주고 이끌어 주었던 팀장님이 생각났다. 책임에 권한을 부여하면 주인의식이 자연스럽게 길러 지고, 주인의식은 깨우침으로 승화되고, 깨우침이 깊을수록 경영 성과는 모두가 바라는 올바른 방향으로 가속된다고 하면서, 스스로 행동하는 사람들이 넘쳐가는 조직을 당해낼 재간이 없다고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와 같이 일하는 직원들을 어떻게 대해야할지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직원에 따라서는 하나하나 체크하며 챙겨야하는 사람이 있고, 큰 테두리만 설명하고 책임과 권한을 주며 맡겨도 되는 사람이 있다. 모든 일에 지시를 받기 시작하면 후자에 속하는 사람도 시키는 것만 하면 혼이 안나고 부딪히지 않으니 마음 편하게 시키는 것만 하게 된다. 그러면 지시를 하는 사람도 지시를 받는 직원도 득이 되지 못한다. 저자가 말한 것처럼 리더의 역할은 비전 수립과 달성에 필요한 전략을 세우고, 팀을 하나로 결속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보완하면서 목표를 향해 건강하게 갈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생각하고 호기심을 발휘해 남들이 생각할 수 없는 상상의 나래를 펼쳐야 할 일도 있다. 미래를 봤을 때에는 당장 시키는 일만 해서는 결코 성장할 수 없다. 편법이 아니고 정도의 길을 걷는다면, 통제가 아닌 자율경영이 필요하다.


인도의 성자 메헤르 바바(Meher Baba)는 "바쁜 마음은 병들어 있다. 느린 마음은 건강하다. 고요한 마음은 성스럽다"고 했다. 긴 호흡을 가지고 멀리보고 나아가야 하는데, 당면한 문제에 일희일비하게 된다. 저자의 말처럼 눈앞의 달콤한 이익이 독이 될지 약이 될지, 고요한 마음으로 분간하지 못하면 조직 전체를 빠트리게 된다고 한다. 아무리 급하더라도 실을 바늘에 꿰어야지 허리에 두를 수는 없다. 비전을 선포하고 일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면 급한 일을 만나도 서두르지 않아도 오히려 속도가 빨리진다고 한다. 시행착오가 줄어드니 매몰 비용도 낮아지고,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 무형자산을 경영하면 유형자산까지 득이 된다는 것을 저자가 사업에 적용하며 경험한 내용이기에 신뢰가 되었다. 이 책을 읽고나니 저자가 왜 무형자산이 중요하다고 했는지 이해가 되었다. 위대한 승리를 이끄는 가장 중요한 것은 무형의 자산, 즉 사람임을 이 책을 통해 다시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