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눈치 없는 언어들 - 알쏭달쏭하다가 기분이 묘해지고 급기야 이불킥을 날리게 되는 말
안현진 지음 / 월요일의꿈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참 눈치없는 언어들, 안현진 지음, 월요일의 꿈

어떤 말을 들었을 때 그 당시에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되어 괜찮았지만 밤에 자려고 누었을 때 생각나서 갑자기 기분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내가 예민한가 싶었다. 그런데, 그 사람의 평소 나에게 하는 언행이 생각나면서, 대체 왜 그렇게 말했을까 생각하니, 숨은 의도가 있구나 의심스러운 생각이 들게 되는 거다. 나는 돌려 말하는 것을 싫어하는 편이라, 말 속에 뼈를 담아 말하거나 자기 의도는 숨긴 채 겉으로는 착한 척 하면서 자기 의도를 드러내고 강요하는 사람과의 대화는 나를 참 힘들게 만든다. <참 눈치없는 언어들>을 읽으면서, 나만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 위안이 되었다.

#나도그랬다

공감 간극 효과(empathy gap effect)는 과거의 어려움은 실제 겪었던 것보다 훨씬 수월했던 것으로 미화되는 것을 말한다. 하나님이 우리 인간을 참 오묘하게 만드신지라, 우리의 아픈 기억은 빨리 잊혀지게 하셨다. 당시에는 죽을 것 같이 힘들었는데, 몇 년만 지나면 그런 기억들을 거의 사라지고, 좋았던 기억만 남고, 추억은 늘 아름답게 장식된다. 힘듦을 이겨낸 사람이 힘듦을 겪어보지 않은 사람보다 더 냉소적인 태도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직원과 상담하면서, 나도 그랬다는 말을 했다. 나의 상황은 더 힘들었으며, 내가 어떻게 이겨 내었는지 얘기하며, 내가 많이 도와줄거니 같이 해보자고 했었다. 하지만 직원은 심리적인 부담감이 육체적인 건강악화로 이어지면서 퇴사하고 말았다. 저자는 위로하기 위해 말한 "나도 그랬다"는 말이, 오히려 나도 고난을 이겨 내고 잘해 낼 수 있을까하는 부담감이 생긴다고 말하면서, 더 좋아질거다, 많이 도와주겠다는 말이 더 위로가 된다고 했다. 내가 도와주겠다고는 했지만, 그 직원은 이겨낼 자신이 없어 부담감만 더 커졌던 것은 아닐까? 내 위로는 위로가 되지 못했던 거다.

#고집이세다

사회 초년병 시절, 나는 고집이 세다는 말을 종종 들었다. 내가 보기에는 당신도 만만치 않은데, 나만 고집센 사람으로 치부하며 공격을 하니 당황스러웠었다. "다른 사람에게 고집에 세다고 말하는 사람의 고집은 얼머나 셀까?"라는 저자의 말에 웃음이 나왔다. 저자는 고집이 세다고 하는 경우를 세 가지로 정리했다. 첫번 째, 상대방이 의견을 잘 바꾸지 않을 때, 나의 설득력이 부족하여 내 의견이 받아지지 않아 대치하는 경우다. 귀책 사유는 나에게 있다. 이 부분은 내가 논리를 잘 정리하면 충분히 설득가능 하다. 두번 째, 상대방의 이해력이 부족하여 내가 타당한 논리와 근거를 제시했음에도 대치하는 경우다. 귀책 사유는 상대에게 있다. 이해력이 부족하거나 인생경험이 부족하여 의견을 고수하는 경우는 답이 없다. 이런 사람을 똥고집이라고 하나? 이 경우에는 상대의 눈 높이에 맞춰 내 주장을 설명하면 된다. 실제로 나 역시 고집이 세다는 말을 덜 듣게 되었다. 세번 째, 상대방의 말에 설득되고 싶지 않은 경우. 서로 악감정이 있거나 내 말이 권위적이어서 귀기울이고 싶지 않은데, 눈치없이 내가 계속 내 의견을 제시한 경우이다. 이건 정말 최악이다. 이거는 해결방법이 없다. 반대를 위한 반대가 이 경우에 해당될 것 같다. 그러고 보니 저자의 말대로 고집세다는 말은 부정적으로 비아냥 거리는 말에 해당된다. 나는 괜찮은데, 네가 이상한 사람이야 하고, 문제의 원인을 상대방에게 전과하는 셈이다.

상대방에 대한 배려로 탈바꿈하는 말, #괜찮겠어?

괜찮겠냐고 나를 위로하는 말인 것 같지만, 사실은 화자에게 유리한 말이다. 비폭력적 대화법의 핵심은 자신의 욕구를 드러내며 발화한다고 한다. 자신의 욕구는 감춘 채 상대방을 살펴 주는 척하는 대화는 진정한 배려가 아니다. 진정한 배려는 미안함이던 감사함이든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에서 시작한다는 저자의 말에 동의한다.

#특이하다

사회 초년병 시절, 내가 들었던 말이 성격이 특이하다였다. 나는 이과적이고 연구자적 성격이 매우 강한 ISTJ이기에 내가 정확하게 이해할 때까지 묻고 또 물었고, 얼렁뚱땅 좋게좋게 넘어가자고 일처리하는 것을 경멸할 정도로 싫어했다. 약 5년의 직장생활을 접고, 박사과정을 위해 대학원에 진학했다. Lab에 갔더니 나처럼 특이한 성격의 사람들이 20명이상 앉아 있었다. "제가 특이한게 아니라 당신의 견문이 좁은 것이 아닐까?"는 말에 공감한다. 사람들은 자기 세계 안의 익숙한 것들을 보통이라고 생각한다 한다. 낯선 것을 보고 자기 영역 안으로 품을 노력을 하기도 전에 특이하다는 말로 차단해버리면 그 사람의 세계는 그렇게 좁아져갈 수 밖에 없는 거다.

이 책을 읽으면서 참 눈치없는 언어들이 많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지인 작가님이 페이스북에 은유, 직유, 의인화 빼고 담백하게 말해야겠다는 글이 떠 올랐다. 내 말이 언어폭력이 되지 않도록, 말을 할 때에 좀더 담백하게 감정, 숨은 의도를 빼고 얘기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