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에듀 2016 - 2016 대한민국 교육계를 뒤흔들 13가지 트렌드
이병훈 교육연구소 지음 / 다산에듀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엔 당사자로서, 그리고 성인이 되고 난 뒤에는 자녀를 키우며. '교육'이라는 키워드는 살면서 뗄레야 뗄 수 없는 것이 되어버렸다. 대학생이 되어 과외 아르바이트를 하며 수많은 학부모님들을 접했고,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지만 답을 내릴 수 없는 문제이기에 굉장히 어려운 분야라는 생각도 들었다.



 대학은 이미 졸업했지만, 얼마 전까지도 교육으로 고민하는 수많은 분들과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있었던 만큼 이번 책이 왔을 때 굉장히 궁금해했었다. 비록 아르바이트나 집 김장준비로 바빠서 읽는것이 조금 느려진 것이 조금 아쉬웠지만, 이 책에는 내가 차마 접할 수 없었던 다양한 미래 전망과 교육방식들이 담겨있었다.



 특히 가장 인상에 남았던건 코딩교육 파트에서 제시된 '미래에 남을 직업과 사라질 직업'을 나타내고 있는 이 표였는데, 지금으로선 "이 직업이 없어도 생활이 가능할까?"라고 생각이 되는 직업들이 제법 사라질 위험이 큰 구간에 위치하고 있는것이 인상적이었다.

 또한 플립러닝, 거꾸로교실에 대한 내용도 굉장히 흥미로웠다.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KBS 파노라마>의 거꾸로교실 영상을 실제로 보았기 때문에 더욱 생생하게 느꼈는지도 몰랐다. 이 영상을 보다보면 수업에 흥미가 없고 매번 졸기만 학생들이 실제로 크게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내가 중고등학교에 다니던 시절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이런 수업을 실제로 경험하는 영상 속 아이들을 굉장히 부러워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인구론. '문계 학생의 90%는 논()다'는 말을 현재 직접 피부로 느끼고 있는 나로써는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유학기제나 직업교육 등에 대한 내용이 가장 크게 와닿았다. 솔직히 책상에 앉아서 공부하는 것밖에 모르며 청소년기를 보냈기 때문에 조금 더 직업에 대해 이것저것 생각해보지 못한 과거의 내가 원망스러웠던 적도 종종 있었다.

 성인이 되어, 취업을 목전에 둔 순간에 이러한 것으로 후회하는 일을 앞으로 그 누구도 겪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국내에서도 해외와 같은 직업교육이 실행되었으면 하고 바라는 마음이 참 컸다.



 앞에서 말했듯이 교육이란 정말 가까우면서도 답을 내릴 수 없는 정말 어려운 영역이었기에, 책에 제시된 내용중에 공감할 수 없는 내용 역시 없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출발은 사교육 경감 대책이라 할 수 있다. 역대 정부에서 사교육비 경감은 언제나 국민들에게 환영받는 일이었다. 그래서 수능등급제, EBS 연계, 논술 등 대학별 고사 축소, 중학교 내신 절대평가, 영어 절대평가, 학교 내 활동으로 비교과 제한, 쉬운 수능 등 많은 정책을 내놓았다. 그 결과 매년 증가하던 사교육비 증가세가 주춤하더니 2014년도 사교육비 총액은 18조 2000억 원으로 전년에 비해 2퍼센트 줄어들었다. 


 수학 사교육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던 챕터에서 저자는 이렇게 말했지만, 솔직히 공감할 수가 없었다. 특히 '국민들에게 환영받는 일이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수능을 EBS와 연계하는 방안은 아마도 내가 졸업 한 직후부터 시행되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아직 졸업을 하지 못한 후배들과 과외 학생들이 그것으로 인해 오히려 얼마나 고통을 받았었던지. EBS교재는 솔직히 말해서 질적으로 좋은 편은 아니었다. 오타가 발견되는 일이야 부지기수였고, 해설이 탄탄하지 못해 해설을 보고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문제들이 어떻게 해결되었다 쳐도 EBS 문제지의 영역이 절반가량 그대로 출제되는 만큼 이 부분의 변별력이 사라지기 시작했고, 남들보다 더 나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결국 사교육이 필수적이었다. 그 뿐이겠는가. 수능성적만으로는 부족할 것 같다는 생각에 조금씩 수시를 위해 투자하는 금액이 늘어가기 시작한다.

 영어 절대평가 역시 이와 마찬가지일 것이고, 그 어떠한 정책들도 마지막에는 결국 사교육으로 돌아가는 결과로 회귀하는 것은 물론이요, 정작 학생들을 더욱 고통으로 몰고 가는 길이었기에 '환영받았다'는 말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 책을 덮은 뒤 가장 먼저 든 생각이었다. 물론, 헬리콥터맘처럼 아이를 졸졸 따라다니며 일거수일투족에 전부 관여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대학을 진학하고 난 뒤 나나 엄마가 가장 많이 들었던 질문은 "아이 교육을 어떻게 했는지"에 대해서였다. 그리고 그 때마다 우리 엄마의 대답은 한결같았다. "아이와 엄마가 잘 맞았기 때문에 좋은 결과가 있었던 것"이라고.


 엄마는 방문학습지를 제외하면 나에게 사교육을 전혀 시키지 않으셨다. 시험 결과에 집착하기보다는 시험을 보기까지의 과정에서 열심히 했는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셨고, 다행히 나는 누구한테 지고는 못 사는 성격이었기에 과정을 중시하는 엄마의 밑에서 보다 나은 결과를 위해 노력하는 법을 배웠다. 스스로의 의지로 이루어낸 성과 덕분에 공부가 재밌어졌고, 그 덕분에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런 나조차도 지금은 취업을 위해 허덕이고 있지만.)

 하지만 만약, 엄마가 나를 무작정 공부하도록 강요만 했다면? 내 성격상 가만히 당하고 있지는 않았을 것 같다. 공부하라고 압박하는 만큼 오히려 다른 곳으로 시선을 돌리고, 그 결과 부모님과 관계도 좋지 않으면서 결과조차 좋지 않은 최악의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까.


 

 부모라면 지금 스스로에게 물어 보아야 할 것이다. '나는 부모인가, 학부모인가?'

 

 책을 마무리지으며 저자가 던졌던 이 질문이, 책에서 오로지 한가지 방법만이 아닌 미래를 준비하는 다양한 교육 방법을 소개한 것이, 어쩌면 모든 학부모들에게 던지는 교육이라는 영역에 대한 해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학부모이기 이전에 아이의 '부모'인 만큼 어느 것이 우리아이의 미래에 도움이 되고, 어느 것이 아이의 성격에 가장 잘 맞는지. 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아이의 성격과 특성을 잘 아는 부모만이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책의 모든 컨텐츠에 공감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아이의 교육 때문에 고민이 많은 학부모들에게, 지금도 나를 볼 때마다 아이 대입에 대한 고충을 토로하는 친척분들께, 한번쯤 읽어보라며 추천은 해주고 싶다. 무조건 책상에 앉아 공부시키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무엇이 아이를 위하는 일인지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어줄 수 있을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