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없는 나라 - 제5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이광재 지음 / 다산책방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창 국정교과서 문제나 일본 자위대 입국 허용 문제로 세상이 시끌시끌한 와중에 이 소설이 5회 혼불문학상을 수상하고, 또 나나흰 서평 미션으로 나에게 도착하다니. 우연도 또 이런 우연이 없다고 생각했다.



 이 책은 폐쇄적인 쇄국정책을 펼쳐오던 흥선대원군과, 외국의 문물을 받아들이며 개화를 주장하던 민씨가 갈등하는 시대를 배경으로 전개되고 있다. 책을 펼치자마자 대원군과 전봉준 장군의 대화로 이야기가 시작되며, 백산 봉기를 시작으로 동학농민운동의 불씨가 타오르기 시작한다.

 동학농민운동을 소재로 다루고 있지만, 책에서는 혁명을 준비하는 전봉준 장군 측의 이야기 외에도 대원군, 개화당 등 다른 측에서 이 운동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역시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이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동학도들의 혁명이 자신들의 도움이 될지 방해가 될지, 또한 이를 어떻게 이용할지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이들의 대화와 생각이 생생하면서도 참으로 현실적이었다.


 사실 지금보다 약 10살쯤 어렸을 때 박경리의 <토지>를 읽어보고자 시도해보았던 적이 있었다. 토지의 방대한 양도 양이지만, 그 때 내가 책을 금방 덮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은 한 눈에 들어오지 않는 서술 방식때문이었다. 사실 이 책을 펴고 난 직후에도 비슷한 난관에 부딪혔는데, 이야기가 전개되며 혁명이 무르익을수록 점차 고조되는 긴장감 때문에 나도 모르게 책에 집중하게 되는 묘한 매력이 있었다.


 책을 읽으며 가장 인상깊었던 점은 바로 이 책이 품고 있는 인간성 때문이었다. 부끄럽게도 국사와 관련된 서적을 많이 읽는 편은 아니었기에 내가 가지고 있는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지식이란 교과서에서 얻은 것이 전부였다. 단순히 농민군이 내걸었던 반외세 반봉건의 강령, 이 운동을 계기로 경복궁을 점거한 일본, 그로 인해 발발한 청일전쟁, 예상밖의 일본의 승리. 굉장히 객관적이면서도 표면적인 것들만 알아왔던 것 같은 기분이 든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이러한 역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그려져있다. 비록 전봉준 장군과 대원군 주변의 인물들 위주로 조명되었다는 한계점 역시 가지고 있지만, 아주 잠깐이나마 보이는 이들의 삶은 농민들의 애환을 좀더 현실적으로 느껴지는 장치로 작용한다.


 책의 결말은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 하지만 남겨진 전봉준의 딸 갑례와, 신념을 쫓아 농민군에 합류한 이철래를 마음에 품고 험한 여정을 선택한 호정, 주체적인 삶의 기쁨을 알게 된 막동이 등.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 때문에 책을 덮은 뒤에도 여운이 쉽사리 사라지질 않았다.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또 어디까지가 역사를 기반으로 작가가 재창작 한 요소인지 판단할 방법은 없다. 하지만 당시에는 이 혁명으로 인해 수많은 갑례와 호정이 있었을 것이고, 그런 모든 사람들의 이야기가 모여 하나의 역사가 완성된다고 생각한다.

 리뷰를 시작하며 국정교과서를 잠깐 언급했었는데, 내가 국정교과서에 반대하는 것 역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역사에 드러나지 않는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 학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해석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역사적 사실들을 단 하나의 갈래로 정의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단적인 예로, 우리가 초등학생때부터 기록해 온 일기장들은 모두 역사적 사실이다. 하지만 내 주관에서 작성된 만큼 그것이 100% 완전한 사실이라고 믿을 수는 없는 노릇이지 않은가.

 하물며 그것이 앞으로 역사적 교훈을 통해 스스로 생각해나갈 힘을 길러야 할 학생들을 위한, 교과서와 관련된 이야기라면. 더더욱 국정교과서라는 하나의 틀로 고정해두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한 쪽의 의견만을 반영하여 편중된 교과서에, '올바른' 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은 더더욱 있어서는 안될 일이다.



 잠깐 논지가 어긋났지만, 단순히 재미만을 위한 소재가 아니었던 만큼 굉장히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는 책이었다. 절절했던 백성들의 삶을 간접적으로 체험한것과 동시에, 지금의 우리는 이 때와 같은 실수를 다시 한 번 범하고자 하는 것은 아닌지. 국내 문제에 자꾸만 외국을 거론하며 끌어들이는 ― 예를 들자면 최근의 일본 자위대 입국 허용 문제와 같은 ― 행동들이 과연 최선의 선택인지. 한 번쯤은 고민해 보아야 할 문제들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