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만의 방 열린책들 세계문학 283
버지니아 울프 지음, 공경희 옮김, 정희진 분류와 해설 / 열린책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와 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

20세기 초를 대표하는 모더니즘 작가이자 페미니스트인 버지니아 울프는 한국에서 교육받은 사람들에게는 비록 그녀의 작품을 읽지 않았더라도 특별한 존재감으로 자리 잡고 있을 것이다.

그렇게 그녀에 대한 궁금증으로 학창 시절 읽었던 그녀의 작품은 사고의 흐름에 따른 정돈되지 않은 듯한 특유의 분위기로 작품이 다소 난해하다는 인상이 깊었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 만나는 버지니아 울프는 어릴 때 읽었던 것과는 다른 느낌과 짙은 호소력으로 다가왔다.


『자기만의 방』은 버지니아 울프가 강연을 위해 <여성과 소설>이라는 주제에 관해 쓴 강연문에 기초한 글이다.

<여성과 소설>을 주제로 강연을 해달라는 청탁을 받았을 때 울프는 망설이며 고민한다. 과연 <여성과 소설>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 물음에 대한 고민 끝에 울프는 당시 가부장적 남성 중심 사회라는 불합리한 제도 안에서 당시 여성이 받고 있던 차별들을 조목조목 지적하면서, 여성이 글을 쓰려면 '돈' 구체적으로 연간 5백 파운드의 고정 수입과 '자기만의 방'을 가져야만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그렇다면 울프는 왜 '자기만의 방'이라는 공간과 '연간 500파운드의 수입'을 제시한 것일까?


20세기 초만 하더라도 여성은 남성에게 종속된 존재로 법적으로 재산을 소유할 수 없었다. 부잣집에서 태어난 여성들이라 할지라도 결혼을 하면 아내가 가지고 온 재산들은 전부 남편의 것이 되었다. 모든 것이 남성 중심의 사회이니 여성의 자유의지와 지적 자유가 제한당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울프는 책에서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지성의 산실이라는 대학과 도서관에서조차 배척당하고 금지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과 소설>이란 주제에 대해 고민하다 무심코 대학의 잔디밭으로 들어가서 교구 직원의 신랄한 공격을 받는가 하면, 여성이 교내 도서관에 들어가려면 칼리지 연구원(남성)과 동행하거나 소개장을 들고 와야 한다며 퇴짜를 맞기도 했다.

그러한 상황에서 울프는 이 물질적 전제를 여성의 실제적 삶과 의식을 규정하는 중요한 문제로서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울프는 사회 각층의 아낌없는 후원으로 건설된 남자 대학과 어렵게 모은 기부금으로 메마른 땅 위에 덩그러니 지어진 여자 대학의 대비와 남자 대학의 성대한 오찬과 여자 대학의 초라한 정찬을 비교하여 보여주며 여성들에게 자신의 권리를 찾고,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을 격려하고 있다.

또한 숙모로부터 매년 5백 파운드의 유산을 상속받게 된 사실이 여성의 투표권보다 훨씬 더 중요해 보였다는 이야기는 그만큼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어야 진정한 자유에 도달할 수 있다는 울프의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울프는 이 책에서 지적 자유가 물질적인 것에 달려 있다고 강조한다. 여성의 경제적 자립은 사고와 집필의 자유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여성에게 위대한 작품 창작의 기회를 준다고 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울프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10만 파운드를 번 변호사가 여덟 아이를 키운 파출부보다 세상에 더 가치가 있을까?'

이에 대해 쉽게 답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울프는 이 에세이를 쓰면서 1백 년 후 여성들은 더 이상 보호받고 차별받는 성이 아닐 것이고, 남성들과 동등하게 모든 활동과 힘든 작업에 참여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버지니아 울프가 살던 시대보다는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여성에게 접근이 까다로운 영역들이 존재한다. 우리는 모든 영역들의 문이 여성들에게 활짝 열리고, 여성의 성장과 발전을 가로막는 유리천장이 사라질 때까지 꾸준하게 노력하고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 앞길을 함께하는 책이 바로 이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