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원의 그리스신화 2 - 신에 맞선 영웅들 유재원의 그리스신화 2
유재원 지음 / 북촌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운명은 정해져 있는 걸까. 사주와 팔자, 얼굴상과 손금 등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통계학(?)으로 미래를 알 수 있다는데 그대로 순응하고 살아야 하는 건지 의문이 남는다. 하늘을 거스르면 노한다지만 어려움을 슬기롭게 이겨내려는 것이 잘못된 건 아니겠다. 어느 정도 정해져 있더라도 순간순간의 올바른 선택으로 좋은 방향으로 돌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러 신들과 영웅들의 등장, 모험과 사랑 이야기로 즐거움을 안겨준 그리스 신화. 많은 책 중에서 처음 접했던 토마스 불핀치의 책과 이윤기씨의 그리스로마신화가 생각난다. 신과 인간의 대결, 어떻게 보면 이건 누가 승자인지 이미 정해진 싸움이다. 죽음의 신 '타나토스'를 속이고, 명계의 여왕 '페르세포네' 마저 놀려먹는 꾀돌이 시시포스. 제우스는 그에게 커다란 바위를 가파른 언덕 아래에서 꼭대기까지 굴러 올라가야 하는 형벌이 주고 영원히 반복되게 만든다. 왕위 다툼때에 포세이돈이 미노스에게 힘을 실어준 황소는 이후 제물로 바쳐져야 했지만 미노스는 다른 황소를 바친다. 화가 난 포세이돈은 아프로디테와 상의해 미노스의 아내 파스파에를 황소에게 욕정나게 만들어 버린다. 가짜 암소 형상에 들어간 파스파에는 황소와 관계를 가지고 머리가 황소이고 몸은 사람인 미노타우로스를 낳는다. 이후 테세우스의 이야기는 유명하니...

 

음악으로 현세를 지배한 오르페우스, 어린나이에 죽은 사랑스런 아내를 찾아 지하세계로 떠난다. 햇빛에 들어설때까지 절대로 뒤를 돌아보지 말라고 했지만 운명의 장난인지 거의 다다라서 뒤를 돌아보는 오르페우스, 아내는 되돌아오지 못한다. 신과 인간이 항상 대립하는 것은 아니다. 희대의 영웅 페르세우스는 헤르메스의 도움을 받아 메두사를 처치하고 시시포스의 아들인듯 보였으나 실제는 포세이돈의 자식인 벨레로폰은 페가소스를 타고 괴물 키마이라를 죽인다.

 

수많은 신과 인간들이 나오는데 가장 관심있게 본 이는 코로니스가 낳은 아스클레피오스이다. 코로니스는 이스키스라는 약혼자가 있었으나 아폴론의 질투로 둘 다 죽고 만다. 아스클레피오스 의술을 익혀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준다. 그는 마침내 죽은 이까지 살려낼 정도가 되었는데 이것이 제우스 신의 눈밖에 나서 번개 맞아 죽고 만다. 죽음을 삶으로 만드는 것은 신의 영역의 들어가는 것. 아스클레피오스는 비록 신들에겐 반역의 아이콘이었을지 모르나 인간에게는 그만큼 고마울 수 없었다. 그래서 그는 인간이지만 위대한 신으로 추앙받는다. 배경 설명과 함께 족보와 사진이 잘 어울렸고 그리스 신과 영웅을 천천히 알아가는 재미가 있었다. 어렵게 느껴져기도 하지만 약간 느리게 음미하면서 읽어봄직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