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 - 독송과 다라니 기도를 위한
상욱.현안 옮김 / 위앙북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찰을 가보면 사천왕상을 지나 대웅전을 중심으로 약사전, 극락전, 약사전, 명부전, 삼성각 등을 볼 수 있다. 대웅전에서만 절을 하는 분도 있고 여러 곳을 들르는 분도 있다. 나는 대웅전만 들러 절을 몇번 하고 나오거나 대웅전 바로 바깥에서 두 손을 모으거나 탑을 돌기도 했다. 

책을 보다가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은 무슨 뜻일지 궁금해서 찾아보니 '아미타 부처님과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한다(믿고 의지한다)는 의미이다. 아미타불은 서방 극락정토로 이끌어주고 관세음보살은 중생에게 자비를 베푼다고 한다. 

사람의 병을 낫게 하는 약사불은 절의 약사전을 생각하면 그리 낯설지는 않다. 책은 경전을 여는 게송, 서분, 정종분, 유통분, 약사찬, 약사주, 회향공덕의 순서로 적혀 있는데 한쪽면에는 한문과 한자음, 다른쪽에는 한글로 해설을 해놓았다. 아무런 뜻도 모른채 한자만 읽는 것보다는 글을 이해하고 진정으로 원하는 바를 비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책의 핵심은 아무래도 '약사찬'과 '약사주' 이다. 약사찬에는 약사여래 부처님을 찬탄하며 약사유리광여래, 약사부처, 일광보살, 월광보살께 귀의하는 내용을, 약사주에는 재앙을 없애주고 수명을 늘려주는 약사부처님께 귀의함을 알리는 내용으로 '나무소재연수약사불'을 외우는 것이다.

책에서는 인색과 탐욕에서 벗어나 자신이 받은 삶을 정진하고 선하게 살고 베풀면서 지내면 원만함을 얻게 된다고 한다. 요즘 드는 생각은 사기만 안당하고 자기 능력에서 벗어난 것을 무리 하지만 않더라도 사는 데에 크게 문제는 없는 것 같다. 만일의 사고나 중병을 대비해 따로 저축을 하거나 필수 보험을 드는 것도 괜찮겠다. 

'사람들은 위급한 상황에 닥치면 자연스럽게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떠올리고 염불합니다. 물론 관세음보살님께 도움을 청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실 재앙과 질병이 닥치기 전 미리 예방하는 것도 중요할 것입니다. 그래서 약사 불법은 우리에게 정말로 필요한 수행입니다. 매일 약사주를 외우고, 약사부처님의 명호를 지니면 미래에 일어날 질병이나 사고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