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풀고 싶은 수학
사토 마사히코.오시마 료.히로세 준야 지음, 조미량 옮김 / 이아소 / 2022년 11월
평점 :
고 2학년 때였나, 자연계와 인문계로 가는 결정을 할 때가 있었다. 어떤 쪽이든 뭔가 특별한 것이 없어서인지 그 직전 교내 시험 영어와 수학 점수로 판단했다. 영어 점수가 수학보다 높게 나왔으니까 인문계로 가자. 참 쉽고도 단순한 판단이다. 10개 반 중에 3개반이 문과 학급이었고 약간은 다른 심화 과목들로 새로운 반 친구들을 만날 수 있었다. 이후에는 수능을 치고 대학교까지 연결이 되니 나름 큰 결심이었을 수도 있다. 지금은 전공과 전혀 무관한 직업을 갖고 있으니 별 상관은 없게 되는 것이려나.
<풀고 싶은 수학>, 제목이 맘에 든다. 풀고 싶고 눈이 간다는 것은 관심이 가고 이 정도는 풀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일 것이다. 수포자라서 수학 공부를 많이 하지 않았고 말만 들어도 머리가 슬슬 아파왔던 기억이 났지만 책을 펼쳐 봤다. 일단 미분, 적분은 없다. 문제 1, 너트는 전부 몇 개일까, 저울에 눈금이 360g 을 가리키고 있고 한개를 덜어냈을 때 357g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정도 쯤이야. 답을 맞췄다. 문제 2, 큰 초콜릿 1개 혹은 작은 초콜릿 2개를 가질 수 있다면 어느 쪽이 양이 많을까. 피타고라스 정리를 활용하여 문제 해결, 답은 맞췄다. 문제 3, 부두의 로프가 두 개 묶여 있을 때 한 쪽 로프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가. 이건 못 풀었다.
문제와 답이 컬러로 인쇄되어 있고 사진이 크고 글자수가 적어 부담감은 확실히 낮다. 쉬운 문제부터 어려운 문제까지 난이도가 표시되어 있고 실생활에서 응용할 수 있는 퀴즈 같은 형식이 많다. 어머니가 치즈를 나누는 방법, 비둘기집 원리, 비교하기 어려운 것은 비교하기 쉽게 바꾸어 생각하기, 기준이 되는 점을 누구로 생각할 것인가의 문제 등 논리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 책은 계산하는 수학책이라기 보다는 논리력과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책이다. 비교해보고 나눴다가 다시 붙여보고 칸을 나누어 자리를 채워 넣고 상상을 통해 다음을 연상하는 등...
큰집이었던 우리집엔 여름이나 겨울 방학, 명절 때에 사촌 형, 누나, 동생들이 와서 며칠 있다가 가곤 했다. 사촌 형은 한번씩 말로하는 퀴즈를 내곤 했는데 한 문제도 풀지 못한 기억이 난다. 그냥 이런 저런 얘기를 듣는 게 좋았고 냇가에 가서 수영하고 고기잡고 즐겁게 웃고 뛰놀다가 가고 나면 많이 허전해서 여러 날 생각나곤 했었다. 나이가 들어서도 좋은 일이 많이 생기고 오래 기억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