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페퍼 - 아내의 시간을 걷는 남자
패드라 패트릭 지음, 이진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산 책방의 베스트셀러, 『오베라는 남자』의 뒤를 이을 책을 만났다. 



예순아홉의 아서. 아내는 꼭 일 년전, 별 것 아닌 줄 알았던 병으로 앓아누웠다가 영영 못 일어나고 말았다. 그 후로 아서는 스스로를 집안에 가두고 두문불출하며 이웃의 관심도, 도움도 모두 거절한 채, 마치 자신에게 벌이라도 내리는 듯 숨어지낸다. 아내의 첫번재 기일에 옷장을 정리하다가 신발 속에서 발견한 팔찌. 


 



 
아서는 코끼리 참 뒤에 새겨있던 전화번호의 주인공을 통해 아내 미리엄이 인도에서 살았다는 사실을 생전 처음 알았을 뿐 아니라, 각각의 참이 한 번에 달린 것이 아니란 사실도 알게된다. 




원제에 쓰인 charm이란 단어를 찾아보니 아래 사진과 같은 모양의 팔찌에 달린 장식을 말한다. 챕터 제목마다 달려있는 그림도 역시나 팔찌인 듯..? 

궁금증과 충동으로 죽은 아내에 대한 뒷조사(?)를 위한 여행을 떠나고, 딸과 이웃들의 개입이 여행길에 재미를 더한다. 
아내의 결혼 전 연인을 만나고 느끼는 질투....알고보니 순수하고 순진할 것만 같았던 아내는 자신만의 환상이었음을 깨닫기도 하고. 많은 것이 자신만의 상상, 혹은 오해였음을 깨달으며 질투와 울화에 시달리기도 하지만, 아내를 나쁘게 말하는 사람에게 참을 수 없는 분노를 느끼고, "누가 무엇이라하건 나는 아내를 사랑한다"며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여행길에서 팔찌 덕에 만난 사람들과 삶의 이면을 발견하고, 자식들과의 유대도 다시 확인하며, 아서는 일흔 살 생일을 맞는다. 
밝혀질 것은 모두 다 밝혀졌고, 팔찌는 새 주인을 찾아간다.

하지만 아서의 여행은 끝나지 않는다. 아내의 과거를 되짚기 위한 여행이 아니라, 아서 자신의 미래를 위한 여행이 이제 곧 시작될 것이다. 


 


***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임신중절 - 어떤 역사 로맨스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리처드 브라우티건 지음, 김성곤 옮김 / 비채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뭐야 이건, 하고 마지막 장을 덮었는데. 원작의 출간년도를 보고 일단 생각이 바뀌었다. 여러모로 커트 보니것이 많이 생각나는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 뜨겁게
배지영 지음 / 은행나무 / 2017년 10월
평점 :
품절


술술 잘 읽힌다. 근데 그게 전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통조림의 탄생 - 알고도 먹고, 모르고도 먹는 저장음식
게리 앨런 지음, 문수민 옮김 / 재승출판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일종의 역사 이야기일까 싶어 설레는 마음으로 책장을 열었는데, 아니 이게 뭐람.

1장은 '보존식품의 위험'이란 제목으로, 식품의 적절한 보관에 실패해 오염된 식재료를 섭취했을 경우의 오만가지 위험성에 대해 아주 시시콜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래서...머... 먹으라는 거야 말라는 거야?라며 기가 질려 더듬더듬 2장으로 넘어가면 아홉 가지로 정리한 과거의 대표적 보존법을 소개한다. (건조/염장/훈연/공기 차단/염지 및 발효/초절임/당절임/산/지방)

2장에서 소개하는 음식의 절반 가까이는 뭐가 뭔지 솔직히 모르겠다.... 만, 대표적으로 추려낸 보존 방식만 아홉 가지나 된다는 사실이 재밌게 느껴진다. 


3장에서는 현대의 보존법을 소개한다. 통조림/병조림을 이용해 음식을 멸균하여 보존하는 방식은 나폴레옹 정부가 야전 식량 효율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식품보존법 개발 공모전(?)을 낸 것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산업화의 물결을 타고 식량 생산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19세기 기술혁신의 물결을 타고 각종 보존 기법이 발달하며, 통조림 법 외에도 농축/저온살균/냉동/화학적 방부제 사용/방사선처리/고압 처리/허들 기술 등 식재료의 특성에 따른 여러 가지 보존법이 개발되기도 한다. 


4장은 가장 재밌으면서도 어리둥절한 부분이었다. '주요 보존식품'을 정리한 챕터인데, 여기에 등장하는 '모르는 음식'은 2장보다 훠얼씬 많다. 

분류만해도 열두 가지로, 육류/생선류/갑각류/패류 및 복족류/문어 및 오징어류/가금류/곡류 및 콩류/유제품과 알류/과채류/탄수화물/음료/디저트...로 정리되어 있고, 각 분류별로, 여러 나라의 보존 음식이 소개되는데, 서구권의 음식을 주로 다루기도 하지만, 남미나 아시아의 음식도 꽤나 포함되어 있어서, 저자의 박학다식함에 감탄하면서도 눈이 휘둥그레지고, 앞 페이지의 음식과 다음 페이지의 음식이 헷갈리기도 하다가, 또 다음 페이지의 사진을 보며 입맛을 다시기도 하고, 어쩌다 먹어본 음식이 나오면 허기를 참으며 책장을 넘겼다. 


5장은 짧지만 가장 얻을 것이 많은 부분이다. 지리적 여건에 따라 발달한 보존법을 살펴본다. 기후, 언어, 종교 등의 지역별 특성이 보존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야기이다. 한국에서 고춧가루가 널리 쓰인 것이 얼마 되지 않았다는 사실과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에 토마토가 보급된 것도 신대륙 발견 이후의 일이고, 19세기에 건 파스타가 대량생산되기 전까지는 파스타가 이렇게까지 대중적인 음식이 아니었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알려주며 시작한다. 

특히 흥미로운 부분은 종교와 문화가 음식에 미치는 영향이다. 특히 종교적으로 특정 음식을 권장하기보다는 금기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유대교와 이슬람교에서 돼지고기를 금하는 문화적 배경이 정말 흥미로웠다. 다른 초식동물과 달리, 돼지는 잡식을 하고, 그늘진 공간과 습도를 공급받아야 하는데, 이는 인간의 식량을 나눠먹고, 인간의 주거 공간을 나눠써야 한다는 이야기다. 게다가 돼지우리의 냄새나 위생상의 문제가 덤으로 얹힌다. 다른 초식동물들은 인간이 먹지 않는 목초를 먹고, 젖을 제공하거나, 노동력을 제공하는데 비하면, 돼지는 한마디로 경제적 활용성이 떨어지므로 지도계층 차원에서 금지했다는 이야기다. 이슬람교 신자가 많지만, 양돈에 적합한 환경인 인도네시아는 돼지고기 요리를 즐긴다는 점이 특이점이라고 덧붙이기도 한다. 


6장에서는 주식 외의 식재료 보존법을 소개한다.

올리브나 올리브유, 각종 시럽류와 술, 동양의 장류, 향신료 등을 간략히 다루고 있다. 


각 장마다 박스 속에 16~19세기 고대의 검증되지 않은 식품 보존법을 짤막짤막하게 소개하고 있는데, 저자가 프롤로그에서 경고한 대로 따라 해선 안 될 것 같은 방법들이 상당히 많다. 깨알같이 이런저런 음식들을 소개하는 흐름을 따라가다가 잠시 눈을 멈추고 헛웃음을 터트릴 만한 쉼터가 될 듯하다. 


글머리에 밝혔듯 일종의 역사를 기대했는데, 이 책은 역사도 다루고 있지만, 통조림 및 식품 보존법 전반에 대한 깨알 같은 지식을 총망라한 책이다. 

재밌게 읽으면서 아는 음식이 나오면 반가워하고, 뭔지 모르겠으면 그냥 넘기거나 상상해보거나 독자 마음대로, 사진이 등장하면 그 맛을 상상해보며 책장을 넘기면, 충분히 즐겁게 마지막 장을 덮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극성 장애 - 기분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사람들 이상심리학 시리즈 3
조용래.김빛나 지음 / 학지사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터넷 뒤지는 것 보다 이 책 한 권 사서 읽으면 다 해결된다. 기본적인 개념부터 치료 방법까지 총 망라되어있다. 좀 더 심화된 내용의 책을 찾는다면 "조울병 치유로 가는 길"(시그마 프레스)를 참조하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