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사라는 참을 수 없는 농담 - 짧지만 우아하게 46억 년을 말하는 법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지음, 이상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7년 7월
평점 :
요즘 출판계에는 비전문가가 어떤 분야에 대해 자신의 지식을 종합해 입문서 혹은 안내서 격으로 쓴 책들이 유행인 모양이다.
독일의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스스로를 아마추어 역사자라고 처음부터 대놓고 밝히며 "스스로의 모자람을 인정하고 과감히 세부를 무시하는 대신 정확히 핵심 또는 핵심적이라 여기는 것에만 집중"했다고 말한다.
이건 또 뭐야. 그냥 역사라는 이름만 걸쳐놓은 별 볼일 없는 책이 아닌가 하며 투덜거리며 읽기 시작했는데.....가볍게 역사를 훑자며 시작한 이 책은 결코 가볍지 않았다. 그리고...굉장히 재밌다!!!!!
이 책은 열 개의 장에 걸쳐 열 개의 테마를 놓고 그에 관련된 역사적 사건과 인물, 사상 등에 대해 비선현적으로 설명을 한다. 기자 출신 작가여서 간결하고 명확한 문체도 한 몫 한다. 또한 저자 자신이 아마추어 역사가임을 강조하며 자신의 주관적 관점을 최대한 배제하고, 역사학자들의 의견을 인용하고 종합하는 입장을 취하며, 이념이나 사상에 대해 다룰 때에는 반드시 대비되는 개념을 함께 다루며, '이것은 유럽인의 입장'이라고 강조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서유럽이 세계의 중심이 된 이유를 유럽인의 입장에서 설명하지만, 오리엔트 문명과 이슬람 문명에 대한 서술도 충분히 곁들였다. (책에서 인용한 이슬람 관점에서 본 세계사에 대한 책도 꼭 읽어보고 싶게 만든다!) 다만 인도 문명이나 중국 문명에 대한 서술은 별로 없다는 것이 약간 아쉽다면 아쉽고, 초반 부터 유럽인 위주의 이야기가 될 거라는 변명을 이래서 늘어 놓았나....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친절하게 한국어판 서문도 따로 추가해 주었을까?)
또 각 장의 끝에는 그 장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토막 지식을 TOP10으로 정리해 두었다.
서두에서 작가는 "우리 평범한 사람에게 역사가 대체 무슨 소용일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으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에 대한 대답은 하나 뿐이다. 우리로서는 달리 어쩔 수가 없다. 물리학적으로 현재를 증명하기란 불가능하다. 우리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은 과거다. 내 옆에 놓인 유리잔은 아주 찰나일망정 원래보다 늦게 보인다."
우리가 겪고 있는 바로 이 순간이 백 년쯤, 아니, 십년 쯤 후에 뒤돌아 보면 역사적으로 엄청나게 의미있는 순간으로 기록될 지도 모른다. 작가가 아마추어임에도 역사에 대한 책을 쓰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누구나, 역사를 의식하고 알아야 한다고.
**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