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한 수학책 - 내 안에 숨겨진 수학 본능을 깨우는 시간
수전 다고스티노 지음, 김소정 옮김 / 해나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수학시험에서 낙제하고 좌절했던 고등학교 시절의 자신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들을 담았다. 최소한 우리나라에서는 누구든 수학을 배제하고 학창 시절을 보내기는 힘들다. 잘하든지 못하든지, 흥미가 있든지 없든지 수학이란 학문은 피할 수 없고 기본은 갖춰야 대학의 관문을 통과한다. 수학은 삶 곳곳에 기본값으로 깔려있는 사례가 상당히 많지만 우리는 특별히 학문으로 인지하고 못하고 살고 있다. 아직도 수학이 그저 계산하고 공식 암기하는 학문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수학은 사고의 체계이고 논리 구조를 머릿속에 심어주는 학문임은 틀림없기 때문이다.

각 장은 수학 개념을 다루는 독립적인 내용들이기 때문에 순서에 상관없이 편하게 읽을 수 있다. 피보나치수열,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뫼비우스의 띠, 게임 이론, 퍼지 논리, 베이즈 통계와 같이 친숙한 사건과 관련된 수학 개념들도 다루고 있지만, 클라인 병이나 초입방체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들도 다룬다. 저자가 그린 스케치를 삽입하여 어려운 개념도 살짝 친근하게 다가오는 느낌으로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수학을 공부하다가 찾은 효과적인 방법을 인생의 다른 일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엉망인 상황을 해결하고, 가장 어려운 문제를 찾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받고, 책상에 앉아 생각하고, 경계를 넘어 모험을 하고, 상식에 반론을 던지고, 솔직하게 질문하는 등.... 인생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수학을 통해 활용하는 능력을 키워보는 것이다. 이 책에 주어진 수학 개념만 알고 있어도 세상을 보는 내 감각은 달라질 것이다. 수학 소식이 귀에 들리고, <뷰티플마인드>, <히든 피겨스>, <빅뱅이론> 등 영화나 tv에 나오는 수학이 다시 다가오기 때문이다.

'n 개의 사물을 m 개의 공간 안에 집어넣을 때 n이 m보다 크면 하나 이상의 사물이 함께 들어가는 공간이 적어도 한 곳은 나온다' 이것이 비둘기집의 원리다. 비둘기집의 원리를 이용해서 이 세상 모든 국가 지도자 가운데 나이가 같은 사람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사실을 입증해 보자. 이 세상에는 모두 195개 나라가 있고, 나라마다 지도자가 한 명씩 있을 것이다. 사람의 수명은 150년을 넘지 않는다. 따라서 1세부터 150세까지를 문 앞에 적은 방이 150개가 있다고 생각해 보자. 자기 나이가 적힌 방으로 각국 지도자들은 들어간다. 나라의 수가 방의 수보다 많으므로 두 지도가가 들어가는 방이 적어도 한 방은 있을 것이다. 그 방에 있는 지도자들은 서로 나이가 같다는 결론이 나온다.

다정한 수학 책은 흥미로운 수학 이야기를 통해 내면의 수학적 사고를 흔들어준다. 저자에 따르면 누구나 수학을 사랑할 수 있고, 수학적 사고 능력을 내면에 가지고 있지만 수학적 매력을 느낄 기회가 없어 미쳐 깨닫지 못하고 매료되지 못한 것이라고 한다. 이 책이 내면에 잠자던 수학 본능을 깨우는 시간을 마련하는 책이다. '수학이 이런 거였어'라는 흥미로움이 느껴지고, 수학의 영역이 삶에도 적용할 수 있는 매체라는 사실에 전율이 일어날 것이다. 아름다운 체계가 담겨있고 점점 친숙해지는 수학 개념은 더 이상 낯설고 먼 학문이 아닌 실생활에 유용한 영역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