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돈을 읽다 - 아마존.구글.넷플릭스는 어떻게 초일류 기업이 되었는가?
데이비드 스티븐슨 지음, 장진영 옮김 / 동아엠앤비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의 여러 기술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복잡하게 관계되면서 많은 데이터들이 축적되어 간다. 그렇게 쌓여진 데이터들을 특정한 목적으로 의미와 가치를 갖도록 활용하는 기술이 (빅)데이터 과학이다. 혁신의 개념이 과거에는 전혀 새로운 기술이나 사고를 창조하는 것이었다면 현재는 과거의 데이터들을 남보다 빠르게 해석하면서 새롭게 던져진 질문이나 필요에 대한 대답을 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책은 데이터 과학을 연구하면서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는 IT컨설턴트가 쓴 것이다. 저자는 데이터 분석 결과와 관련된 툴(Tool)로 많은 비즈니스 의사 결정을 도왔고 여러 투자회사, 사모펀드등에서 많은 강의를 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그런 배경에서 이 책에서는 빅데이터를 다루는 이론적인 기반 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에서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앞으로 어떤 식으로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지, 그것을 위해서 우리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 지까지 서술하고 있다.

 

 

 

 

먼저, 데이터에 대한 시각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한다. 과거에는 일정한 용량의 최신데이터를 보존하고 나머지 과거의 데이터는 폐기했다면, 지금은 모든 데이터를 보관하고 과거보다 훨씬 더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당장은 그 사용처에 대한 확신이 없더라도 향후의 문제 해결과 활용 분야를 위해서 최대한 많은 데이터를 ‘데이터 레이크’ 에 저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ROI (투자자본수익률)관점에서 빅데이터를 저장하고 복잡한 연산을 수행하는 메모리들인 RAM이나 ROM가격이 과거에 비해서 급락이라고 할 정도로 떨어졌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수집된 빅데이터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플랫폼, 툴, 응용프로그램, 프로세스를 만들고 여러 분야의 엔진니어, 비즈니스/ 웹 분석가, 보고전문가들로 구성된 적절한 팀이 구성되어야 한다. 이 모든 과정을 빅데이터 생태계의 조성으로 통칭하는데 많은 기업에서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비즈니스 전략을 세우는데 기본적인 수단이 되어야 한다.

이 책은 실용적인 관점에서 빅데이터가 이전의 데이터와 어떻게 차별되는 지 알려주고 그것을 활용하는 절차와 사례에 대해서도 비교적 단계적으로 자세하게 알려주고 있다. 이미 아마존, 구글과 같은 세계적인 기업들은 빅데이터를 여러 방면에서 활용하면서 현재와 미래를 대비하며 관련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반면에 아직도 많은 기업들은 빅데이터를 적절히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빅데이터의 가치를 이해해서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서평단으로 참여하여 출판사로부터 무상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